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김유민
등록일
2020년 09월 12일 23시 22분
조회수
91
첨부파일
교수님 안녕하세요? 공부하다 의문이 있어 몇가지 질문드립니다. 1. 아리스토텔레스에서 품성의 탁월성의 정의가 '합리적 선택과 결부된 품성상태로, 우리와의 관계에서 성립하는 중용에 의존한다. ~~~'라고 되어있는데요, 왜 합리적 선택과 결부된 품성상태라고하나요? 2. 원효의 일심이문 사상에서, 일심이문과 일심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만약 "두 개의 문 속에 만가지 논의가 포용되어있어 조금도 혼란됨이 없고,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뜻이 한 마음에 하나로 혼융되어있다.' -> 이 서술에 대한 답을 쓰라고 한다면 그것은 '일심'인가요, '일심이문'인가요? 3. 대승기신론에서 여래장과 진여가 다른 것으로 알고있는데요.. 원효의 대승기신론소에서 심진여문과 심생멸문이 서로 원융회통하여 서로 포섭하게되면 심생멸문의 여래장이 진여가되는것인가요? 4. 동양 651페이지 원효의 저서에 나타나있는 화쟁사상에서, 법화경종요에 나타난 화쟁사상의 설명 중 '일미의 대해'에서 '일미'와, 금강삼매경론에 나타난 화쟁사상의 설명에서 마지막 줄 경계가 무너져 서로 대립이 없어져 무상, 무생의 실재의 세계에 이르면 최고의 긍정 즉 '대연' 이 된다. 에서 대연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5. 동양 교과서 483페이지 율곡의 심성정의일로설에서 마음을 본연의 성을 그 안에 갖추고 있는 기로 규정함 이라고 되어있는데, 그렇다면 율곡은 심즉기를 주장한것인가요? 6. 관념, 정념, 감정, 인상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혹시 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다면 특히 흄이 사용하는 각 개념의차이가 잘 구분이가지않습니다. 교수님 늘 좋은 수업 감사드리고, 질문 하나하나 꼼꼼히 답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