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환경윤리에 관한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09월 20일 16시 52분
조회수
170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개입’이라는 용어가 모호합니다. 이 용어가 파괴된 환경을 되살리기 위한 인간의 모든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그러한 ‘개입’에 반대하는 환경윤리학자는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저러한 구체적인 문제 상황에서 레오폴드와 같은 생태중심주의자와 테일러와 같은 개체론자들은 어떤 방식으로 판단하고 행동할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구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2. 심층생태주의는 ‘각자에게 각자의 몫을’이라는 정의의 원칙에 따라 환경 문제와 관련한 책임의 경중에 따라 각자에게 다른 책임을 묻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희생을 요구한다는 것이 비판의 핵심입니다. ▒▒▒▒▒▒ [이대헌 회원님의 글] ▒▒▒▒▒▒ 1. 대지윤리는 그동안 인간의 무분별한 자연 개입으로 훼손된 자연 환경을 다시 되살리기 위한 개입에 관해서는 긍정적으로 본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자연 환경을 되살리기 위한 개입에 관해서는 환경윤리에 대해 이야기 한 학자 중 테일러만이 부정적으로 본 것인가요? 아니면 인간의 무분별한 개입에 반대하는 레오폴드 또한 부정적으로 본다고 할 수 있나요? 2. 네스의 심층생태주의에 대한 비판 중 하나가 환경 문제의 경중을 따지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책임을 요구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비판점에 관해서는 정확히 어떠한 책임을 요구한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다른 학자들의 주장에도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책임을 요구한다는 비판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테일러는 생명을 가진 존재의 불간섭을 강조하면서 모든 생명체에 대해 존중의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 또한 모든 인간에게 책임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가요? 레오폴드의 대지 윤리 또한 대지에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면서 도덕적 지위를 부여해야 한다는 책임을 인간에게 요구하는 것이 아닌가요? 매번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