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월 강의질문] 질문올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0년 09월 29일 18시 29분
- 조회수
- 202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1. 원문에만 의거하여 엄격하게 채점한다면 ‘자치’만이 정답입니다. 그러자 공화주의적 자유에 대한 샌델의 관점을 고려한다면 ‘정치 참여’, ‘자치 참여’ 또한 정답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2.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답안을 수정하여 올렸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아리스토텔레스
1, 2. 합리적 선택은 욕구의 대상인 목적, 즉 좋음(선)을 실현하기 위한 최선의 수단(행위)를 선택하는 행위입니다. 이 때 최선의 수단에 대한 선택은 욕구가 아니라 이성 작용의 산물입니다. 합리적 선택에 개입하는 욕구는 두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하나는 목적을 욕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합리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욕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합리적 선택에 따른 행위는 욕구와 이성 작용이 결합하여 나온 행위입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목적을 욕구하고, 목적 달성을 위한 최선의 행위를 합리적으로 선택하며, 선택된 행위를 욕구할 때 행위가 표출되게 됩니다.
3. 못된 사람(악덕을 소유한 사람)은 바르지 않은 목적을 욕구하는 사람입니다. 달리 말해서 그는 진정으로 좋은 것이 아닌 것 혹은 참된 행복이 아닌 것을 좋은 것으로 혹은 참된 행복으로 욕구하는 사람입니다.
▒▒▒▒▒▒ [윤효섭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1. 2회차 모의고사 a 형, 4번문제의 답으로 '자치참여'는 틀린답인지 여쭤보고싶습니다.
2. 2회차 모의고사 b형에서 긍정심리학 문제, 4 번문제에서 절제를 지나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부터 우리를 보호해준다는 것은 목표를 성취하고자하는 의지와 관련되어 있다고 하셨는데, 그건 용기에 대한 설명 뿐 아니라 절제에 대한 설명으로 해석이 되는 것인가요?
기입 '절제'에 대한 답안이 지나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내외적 난관에도 불구하고 목표를 성취하려고하는게 맞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
1. 합리적 선택에서 욕구하는 기능은 합리적 선택의 목적에만 작용하는 것이고 선택자체에는 작용하지 않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욕구하는 어떤 목적에 대한 수단을 찾을 때 그 수단을 '선택'하는 것은 이성의 판단인 것인가요? 숙고한 것을 토대로 판단한 것을 욕구해야 행위로 산출되는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당연히 목표에 대한 수단을 합리적으로 숙고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잘 달성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수단은 선택 후에 욕구하게 되는 것이고 선택은 이성의 판단인 것으로 이해하면 괜찮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2. 행위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최종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어떤 요소인지 궁금합니다.
3. 합리적 선택이 신실한 것이려면 욕구도 올바르고 이성도 참이어야 하는데, 욕구는 항상 행복을 목적으로 추구하고 있는데 욕구가 올바르지 않을 수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목적은 주어진 것으로 숙고의 대상이 아닌데 사람은 누구나 행복을 목적으로 하는데 합리적 선택의 목적이 행복이 아닌 경우가 있는 것인가요?
못된 사람이라고 불리는 사람도 결국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 합리적으로 선택한 대로 행동하는 것이라면 틀린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