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동양윤리 질문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09월 29일 18시 42분
조회수
166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원문에 사용된 ‘성’이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고려하여 그것이 본연지성인지 기질지성인지를 판단하셔야 합니다. ‘성즉리’라 할 때 성은 본연지성을 말하는 것이고, 본연지성은 천리가 마음에 내재해 있는 것이므로 그것의 본질과 내용이 천리와 일치합니다. 그래서 성은 천리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기질지성을 기 혹은 형기라고 해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기질지성은 본연지성과 형기가 결합하여 형성된 성이기 때문입니다. 2. ‘대학’ 고문의 친민을 주희는 신민으로 수정하였고, 왕수인은 그러한 주희의 입장을 비판하면서 친민이 옳은 표현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두 견해 중에서 무엇이 올바른 견해인지에 대한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린 적은 없습니다. 두 학자의 견해의 차이점과 주희의 입장에 대한 왕수인의 비판 근거를 알아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네. 동일한 의미를 지닌 두 용어입니다. ▒▒▒▒▒▒ [윤민지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문제풀이 강의를 듣다가 계속 궁금했던 점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1) 동양윤리 빈칸 문제에서 본연지성을 성, 천리 라고 쓰거나 기질지성을 기, 형기 라고 써도 무방할까요? 교수님께서 수업하실 때 "빈칸은 성, 그니까 본연지성이죠"라고 하실 때가 있었는데 같은 말로 써도 되는건가 해서요.. 2) 대학 삼강령에서 친민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는데요, 신민이 잘못된 표현이고 친민이 옳은 표현이다라고 말씀해주셨잖아요. 그러면 신민이라는 말은 쓰면 안 되고 친민이라는 말만 써야 하는 건가요? 3) 강의때 지행합일과 지행일치의 뜻을 약간 구분해주셨는데, 그럼에도 두 단어의 의미를 같게 써도 되는 건가요? 항상 좋은 수업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즐거운 한가위 보내세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