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기타]  플라톤 기출문제 관련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09월 29일 19시 00분
조회수
191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제시문 (가)에는 덕과 관련한 윤리적 입장에 나와 있을 뿐, 윤리의 성격에 대한 입장이 서술되어 있지 않습니다. 제시문 (나)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윤리적 상대주의의 논리적 모순을 지적하는 것은 출제자의 의도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제시문 (가)에는 덕의 교수 여부에 대한 입장과 덕의 성격에 대한 입장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제시문 (나)에는 교육의 본질과 용기의 덕의 성격에 대한 입장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은 모두 덕의 교수 가능성을 긍정하기 때문에 그들의 입장에서 (가)의 첫 번째 주장의 논리적 모순을 지적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실제로 (가)의 출처인 대화편 ‘프로타고라스’에서 대화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소크라테스는 덕의 교수 가능성을 긍정하는 프로타고라스의 주장을 결정적으로 논박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런데 그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가 명확히 논박한 것은 (가)의 두 번째 프로타고라스의 주장입니다. 따라서 두 번째 주장의 논리적 모순을 지적하라는 것을 출제자의 의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며, 강의 시간에 말씀드렸듯이 지적 내용은 ‘프로타고라스’편에 나와 있습니다. 참고로 플라톤은 ‘덕의 단일성’이라는 소크라테스의 입장을 계승하였습니다. ▒▒▒▒▒▒ [남선옥 회원님의 글] ▒▒▒▒▒▒ 2020년 임용 기출문제 중 프로타고라스와 플라톤이 함께 묶여 나온 문제가 있는데요.(전공B 6번) 문제의 작성 방법을 보면 '(나)의 윤리적 입장에서 (가)의 윤리적 입장의 논리적 모순을 드러내는 논변을 서술할 것'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나)의 내용을 읽어 보면 플라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플라톤도 덕의 단일성을 주장한 것인가요? 기출문제분석집 27쪽의 예시답안을 보면 그 내용이 소크라테스의 입장에서 덕의 단일성을 바탕으로 프로타고라스의 입장의 논리적 모순을 드러내는 논변인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런데 예시답안의 내용이 플라톤의 입장에서도 성립하는 것인가요? 저는 (나)의 윤리적 입장에서 (가)의 윤리적 입장의 논리적 모순을 드러내라고 했으니 (가)의 윤리적 입장은 윤리적 상대주의, (나)의 윤리적 입장은 윤리적 보편주의(?) 정도로 봐서 서술하라는 의미가 아닌가,라고 생각했는데 방향 설정이 잘못된 걸까요? 혹은 (가)는 덕을 선천적으로 있는 게 아니라 가르치는 거라고 하고, (나)는 덕은 지식을 넣어줄 수 있는 게 아니라고 하는 내용인데, 그것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건 논점이 어긋나는 걸까요?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