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교과 질문입니다.

작성자
강효경
등록일
2020년 10월 03일 13시 29분
조회수
112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과 질문입니다. 블라지 1) 성격의 중심 = 인성 = 자아정체성 같은 말로 보아도 되나요? 2) 저번에, 동기체계에 대해서는 성격 혹은 인성이라고 하셨는데 성격=자아정체성은 아닌 것 같아서요.. 성격과 자아의 차이점이 잘 구분이 안갑니다. 3) 도덕적 통합은 성격안에 도덕성을 통합한다는 것이고, 최고의 도덕적 통합은 도덕성이 자아의 일부가 된다는 것인데 이 둘이 어떤 차이점때문에 하나는 "최고"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성격과 자아가 같은 말이라면 둘이 차이점이 없는 것 같아서요! 4) 자아정체성의 일부가 된다는 것과 성격의 중심으로 통합된다는 것의 차이점이 구분이 안갑니다. 성격과 자아의 관계에 대해서 잘 몰라서 구분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5) 도덕교육 사사점에서 권위 있는 훈육방법이 왜 타인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가깝게 느껴지게 하는 것인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나딩스 윤리적 이상은 최상의 자아에 대한 관점인데요 교재에 나와있는 정의가 헷갈립니다. 배려하는 사람이 자기 자신을 배려하는 자로써 유지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모습 자체가 최상의 자아인건지, 배려하는 사람이 최상의 자아가 되고자 노력하기 위해 떠올린다는 최상의 자아에 대한관점인건지 무엇을 정확하게 지칭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콜버그 1)교재 67페이지에 공동체 모임 부분에서 "위원회 결정들에 관한 호소" 이 부분에서 위원회는 규율위원회를 뜻하는건가요? 2) 정의공동체에서 도덕적 토론의 목적 중 "공동체를 형성하는 방식으로"라는 말이 정확하게 이해가 잘 안갑니다. 공동체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라는 말이 무엇인가요,,.? 3) 68페이지 교재에서 모든 성원에서 참여를 권면하도록 학생대표를 도와준다는게 잘 와닿지 않습니다. 학생대표가 학생들의 참여를 권면하도록 학생대표를 도와준다는 말인가요? 피아제 1) 비평형은 새로운 개념을 인지구조에 동화시키지 못함으로 발생하는 과정이라면 조절을 당연히 수반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조절 없이 자극을 동화시켜 나감으로써 평형에 도달한다는 것"이 평형이라는 말과 연결이 안됩니다. 2) 피아제는 학생들의 자치활동을 강조했는데요, 스스로 해보는 활동 속에서 또래 학생들과의 협동이라는 것이 다 포함되는 말일까요? 튜리엘 89페이지 첫번째 교육적 시사점에서, 사회적 판단의 다양성이라고 하니 도덕이 상대적이라는 말로 다가옵니다. 저 부분에서 사회적 판단의 다양성을 발달의 차이점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