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7~8월 강의질문]  질문입니다.

작성자
강효경
등록일
2020년 10월 06일 16시 57분
조회수
131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교수님! 응용윤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레오폴드는 개체 수를 일부러 줄이는 올바른 방향으로서의 인간의 개입을 허용한 것으로 압니다. 교재 465페이지 심층생태주의에 대한 비판 중, 생태계의 가치를 살현하는 데 인간의 개입을 허용하지 않는 말과 상충된 것 같아 보입니다. 교재에 나온 비판 내용은 "심층 생태주의"에만 해당되는 내용의 비판인가요? 그렇다면 네스는 레어폴드와 같은 인간의 개입 모두를 허용하지 않는다고 본 것인가요? 2) 요나스의 책임은 존재론적 책임이고 이러한 책임은 당위에 대한 책임으로, 존재론적 책임의 성격으로 당위에 대한 책임을 말하고 있는 것이죠? 혹시 존재론적 책임과 당위에 대한 책임을 구분해야 하나 싶어 질문드립니다. 통일 1) 외재적 접근법은 교재에서 언급한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적 시각 이외에도 다른 여러가지 외재적 시각에서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죠? 기출에서 언급된 전체주의 이론에 근거한 연구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모르겠습니다. 어디 나와있는 곳을 못찾겠더라고요ㅠㅠ 그래서 질문드립니다. 2) 기출문제집에 나와있는 화폐개혁의 문제점 중 "장마당 침체"를 가져왔다는 비판이 있는데요. 장마당은 암시장 형태로 화폐 개혁 자체가 그러한 시장을 없애기위해 한 개혁인데 문제점으로 장마당 침체를 가져왔다는 비판이 맞는지가 궁금합니다. 스토아학파 기출문제집에 정의의 도덕덕 가치와 의무의 근원은 자연법에서 도출되므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성격을 가진다고 되어있습니다. 제가 궁금한점은 정의가 도덕적 가치를 지닐 수 있나요? 도덕적 가치 즉, 선악은 오직 인간의 의지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 아닌가요? 자연으로부터 도출된다고 해서 도덕적 가치를 지닌다면 정념 역시 선악 그 자체와는 무관한 것이 아닌 것이 되어버리는 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