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질문 있습니다
- 작성자
- 남지호
- 등록일
- 2020년 10월 07일 20시 35분
- 조회수
- 108
- 첨부파일
-
교수님 안녕하세요.질문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1. 저는 밀이 로크식 자유주의자가 아니라 신자유주의 진영에 속하는 학자로 알고 있습니다. 기본교재 p.165에도 밀의 자유가 "자유는 단지 다른 선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행복의 본질적 요소로서 그 자체로 가치를 가지는 것이다"라고 설명되어있는 점을 참고헀습니다.
그런데 천재교과서의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 p.189쪽에 근대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의 설명이 나오면서 "대표적인 근대 자유주의 사상가인 밀도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정부를 좋은 정부라고 본다. 그래서 사회나 국가가 개인을 통제할 수 있는 경우를 엄격하게 규정하려고 한다"라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교과서에 의하면 밀은 자유를 근대 자유주의 사상가 라고 하면서 권리의 보장으로서의 자유를 말하는 것같아 보여서 질문 드립니다..
2. 기출교재 p.533에 민주주의의 세가지 형태를 제시하면서 답지 ㄱ에 "참여민주주의는 다수의 폭정보다 기득권의 과잉 대표를 우려한다"라는 진술이 옳다고 되어 있습니다. 근데 다수의 폭정과 기득권의 과잉대표 둘다 대의민주주의의 부작용으로 알고 있는데 "보다"라고 표현한 점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다수의 폭정이 대의민주주의의 부작용이 아니라 다른 것을 지칭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3. 그리고 질문이 누락된거같아 다시 질문 드립니다,,
피터싱어의 경우에 공리주의를 1. 소극적 공리주의와 2. 선호 공리주의 두가지를 기본적 윤리적 입장으로 삼고 있는데, 이 두개가 어떻게 양립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소극적 공리주의 라는 것은 고통의 제거를 기준으로 윤리적 판단을 한다는 말 같은데, 선호 공리주의라고 하면 고통의 제거와 선호 두가지 모두가 윤리적 판단의 기준이 된다는 것이고 그러면 기준이 2개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