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나딩스
문맥에 따라 다릅니다. 문맥에 따라 윤리적 배려 혹은 자연적 배려를 윤리적 배려의 감정 혹은 자연적 배려의 감정으로 읽어야 할 때가 있고, 그것을 배려 행위로 읽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3. 원문에 의하면 안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하이에크의 자유 개념의 본질이 말씀하신 것에 있다는 것입니다.
4. 이이는 이황의 이기호발설을 본체론적 논거(이기지묘, 기발이승 등)를 통해서 비판하기도 하고, 다양한 심성론적 논거를 통해서 비판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해당 문제는 성혼과 주고받은 편지의 내용을 바탕을 두고 출제된 것이기 때문에, 원문에 부합하는 답안만 정답으로 처리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 바랍니다.
5. 선한 의지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윤효섭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좋은 문제와 좋은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
나딩스
윤리적 배려와 윤리적 배려의 감정은 동일한 용어인지 궁금합니다.
3. b 6번 하이에크
여기에 자유를 변화에 적응하고 자신에게 유리한 변화를 형성할 수 있는 행동의 자유 라고 쓰면 안되는 것이겠지요??
4. 이이의 이기호발 비판 문제에서 쟁점은 인심도심에 맞춰야 되기 때문에 이와 기가 각각 발하면 두개의 세계가 나타난다는 비판으로 서술하면 채점 시 점수를 얻지 못하는지 궁금합니다.
5. 아우구스티누스 도덕적 행위의 동기 문제에서, 도덕적 행위의 동기는 선한 의지이고, 선한의지는 사랑할 것을 사랑하고 사용할 것을 사용하도록 하여 이성이 완전성을 향하도록 이끌기 때문이라고 근거를 서술하면 틀린 답안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코로나 때문에 인강으로 신청을 했는데 혼자서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을 여쭤봅니다.. 혹시 이런 질문은 곤란하시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