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질문입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0년 11월 03일 20시 17분
- 조회수
- 200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타당성 주장은 보편적 타당성 요구를 제기하는 주장입니다.
2. 인간과 자연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고, 그것이 사실이라면, 자연에 대한 인간의 불간섭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며, 또한 자연에 대한 인간의 모든 간섭이 부정적이라는 관점 또한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이 비판의 내용입니다. 여기서 인간의 간섭이란 특정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인간의 활동으로서, 이는 피해를 보상하는 수준의 활동을 넘어서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활동입니다.
생명중심주의자들은 기본적으로 생명체 간 불간섭을 주장합니다. 이러한 입장을 교조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면, 인간은 다른 생명체에 대해 어떠한 간섭도 해서는 안 된다는 의무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렇다면 현재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을 의무를 위반하는 행위가 되어버립니다. 이는 현재의 환경 문제를 방치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 비판자들의 주장입니다.
▒▒▒▒▒▒ [강효경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1) 하버마스 담론윤리 중 "타당성 주장"의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담론 중에 내놓는 참여자의 주장을 말하는 것인지, 보편적 타당성 요구를 제기하는 주장을 말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정확하게 나눠주셨던 교과교육 프린트 31페이디 담론의 규칙 서술 내용 중 "이론적, 실천적 타당성 주장"이 타당성 요구를 제시하는 주장인지, 의사소통행위자의 주장인지가 헷갈립니다.
2) 복습하다가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응용윤리 교재 생명중심주의 윤리의 한계 부분에서, 생명중심주의는 생명체에 대해 도덕적 고려를 하는 입장으로 생명에 대한 불간섭의 강조가 왜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잘못된 관점인지 이해가안갑니다.
더불어 테일러는 보상과 정의의 의무를 제시하였는데, 왜 생명체간의 불간섭 강조가 인간이 저지른 자연 파괴를 무책임하게 방치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하는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슈바이처도 생명의 부정에 대해 도덕적 책임을 지어야 한다고 주장했고요,,)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