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스피노자 문풀 4번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0년 11월 03일 20시 26분
- 조회수
- 13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신의 어떤 속성의 절대적 본질에 대한 타당한 인식에서 사물의 본질에 대한 타당한 인식으로 나아가는 것'이란 신의 본성이 필연성에 대한 타당한 인식에 근거하여 사물의 본질을 인식하는 것’(이를 스피노자는 직관적 인식이라 부릅니다.)을 말합니다. 따라서 입니다.
2. 롤스에 의하면, 시민불복종은 사회의 공적 정의관에 근거하여 다수의 정의감에 호소하는 시민의 공적 활동입니다.
▒▒▒▒▒▒ [윤효섭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스피노자에 대해서 여쭤보려 합니다.
1. 문제풀이 에서 4번에 3종의 인식이 '영원한 상 아래에서 사물을 인식하는 것, 즉 신의 본성의 필연성에 대한 타당한 인식에 근거 한 사물의 본질을 직관하는 것' 이라고 나와있는데, 근거한이 오타인지 궁금합니다. 타당한 인식에 근거해 있는 사물의 본질을 직관한다는 것인지 타당한 인식에 근거'하여' 사물의 본질을 직관한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직관에 의한 인식이 '신의 어떤 속성의 절대적 본질에 대한 타당한 인식에서 사물의 본질에 대한 타당한 인식으로 나아가는 것' 이라면 ,~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를 인식한다라고는 할 수 있어도 인식 하에 '직관'한다 라고 하면 동어반복이 아닌가 궁금합니다.
롤스
시민불복종에서 다수의 정의감,, 공적 정의관, 다수의 정의관에 근거하여 정당화된다. 이 셋 모두 같은 의미인가요? 원문에 기입을 넣으면 뭘 넣어야 할지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감기 조심하시면 좋겠습니다 !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