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월 강의질문]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0년 11월 03일 20시 43분
- 조회수
- 15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에피쿠로스학파는 행복을 성취하기 위해 자연적 질서에 대한 인식을 통한 신, 운명, 죽음의 공포로부터 해방을 주장했지, 스토아학파식의 자연에 따르는 삶, 즉 자연의 필연적이고 인과적인 법칙과의 완전한 일치하는 삶을 주장하지는 않았습니다.
▒▒▒▒▒▒ [남지호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모의고사 5회문제 8번에서, 에피쿠로스와 스토아 학파의 공통점이 "자연의 질서에 대한 참된 인식의 소유를 행복에 이르는 방법으로 강조"했다고 답안지에 쓰여있는데요.
이번년도 교수님의 기출분석 책 p.55 2011년 스토아와 에피쿠로스 문제에서 에피쿠로스에는 해당되지 않고 스토아 학파에는 해당되는 선지중 "자연과 일치하는 삶을 강조" 가 답으로 해당됩니다.
그런데 모의고사의 답안지에 의하면 "자연과 일치하는 삶을 강조"하는 것은 스토아학파와 에피쿠로스 학파의 공통점으로 봐야하지 않나요....? 제가 자연의 질서에 대한 인식을 자연과 일치하는 삶과 같게 본것에 문제가 있는 건가요..? 아무리 고민해도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