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 남깁니다.
- 작성자
- 신유빈
- 등록일
- 2020년 11월 13일 00시 49분
- 조회수
- 89
- 첨부파일
-
1. 피아제의 도덕교육 방법에서 보면 첫번째로 권위주의 교수 방법과 순수하게 개별적인 교수 방법은 도덕교육의 방법으로 부적절하다고 하셨는데 개별적인 교수 방법이 왜 부적절한지 궁금합니다.
2. 콜버그 캔디 모형 중 책임판단과 의무판단의 차이점에서 세번째에 개인적인 도덕적 가치에 대한 판단이 행동을 위한 기초로서 명백하게 사용될 경우에는 책임판단이라고 하셨는데 이것은 왜 의무판단에는 해당되지 않는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3. 레스트가 콜버그의 단계 개념 대신 스키마 개념을 사용한 이유 중 하나가 도덕성 발달 단계에는 통문화적 유사성만이 존재한다고 보기 때문이라 하였는데 여기에서 도덕 발달 단계에는 각 문화, 사회마다 유사성이 존재한다는 의미가 정확히 무엇인지 이해가 잘되지 않아서 질문 남깁니다.
4. 레스트가 콜버그의 단계 개념 대신 스키마 개념을 사용한 이유 중 하나가 사회 제도와 역할 체계에 대한 인식을 측정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라 하였는데 이것이 레스트의 어떤 이론과 연결되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가 되지 않아서 질문 남깁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