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 남깁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0년 11월 16일 18시 38분
조회수
176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 1. 가능한 비판입니다. 2. 질문과 관련된 제 교재의 내용은 ‘도덕교육 탐구(추병완 저, 한국문화사)’ 65쪽의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그 책에 질문하신 것과 관련한 설명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다른 문헌에서도 그와 같은 설명을 아직까지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 따라서 답변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 바랍니다. ▒▒▒▒▒▒ [신유빈 회원님의 글] ▒▒▒▒▒▒ 1. 관찰학습 이론은 아동들이 각 단계에서 어떠한 상태에 있는가 하는 사실보다는 아동들이 어떻게 해서 학습하게 되는가 하는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아동 발달에 관심을 지닌 모든 사람에게 그 효용성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행동주의도 발달단계를 제시하기 보다는 도덕발달로 행동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에 관해서만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행동주의에서도 아동 발달에 관심을 지닌 모든 사람에게 효용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비판점을 제시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2. 블라지의 도덕적 의지로서의 인격 모델에서 도덕적 인격은 여러 종류의 덕을 필요로 한다고 하였는데 그 중 도덕적 의미를 부여하는 낮은 수준의 덕에 왜 정의와 성실, 정직이 들어가는지 궁금하며 인격의 안정성과 보편성을 위해 의지와 관련된 덕과 자기 통합의 높은 수준의 덕의 각각의 예가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