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 남깁니다.
- 작성자
- 신유빈
- 등록일
- 2020년 11월 26일 16시 07분
- 조회수
- 132
- 첨부파일
-
1. 흄의 공감을 직접적으로 주어지는 인식과 내 안의 관념이 연합해서 관념의 생생함을 부여하여 마치 내가 그것을 느끼는 것처럼 공감하는 것으로 설명해주시며, 흄의 공감은 심리적 기제, 인식적 기제라고 말씀해주셨는데 호프만의 공감과는 차이가 있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렇다면 호프만의 공감은 인식, 관념이 개입하지 않고 오직 정의적인 정서 영역만 개입하기 때문에 흄의 공감과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2. 하이트에서 사회적 인습과 도덕적 규칙으로 범주화하는데 관여하는 변인은 튜리엘이 주장한 것처럼 '타인에 대한 공정성과 배려 여부'가 아니다라고 하셨는데 튜리엘이 사회 인습적 영역과 도덕적 영역을 구분한 것은 알았지만 그 변인이 '타인에 대한 공정성과 배려 여부'인지를 정확히 알지 못했는데 그렇다면 튜리엘이 도덕적 영역을 비개인적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요구사항으로서 사회 제도나 인습과는 별개로 존재하는 것으로 설정해두었기 때문에 '타인에 대한 공정성'이 변인이 되는 것이고, '타인에 대한 배려 여부'는 도덕적 영역을 시대사회적 맥락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보다 근원적, 본질적, 내재적인 가치 개념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변인이 되는 것인가요?
매번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