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윤리적 상대주의의 문제점에 대한 질문입니다.
- 작성자
- 유은수
- 등록일
- 2021년 01월 11일 15시 19분
- 조회수
- 111
- 첨부파일
-
1. 교재 16쪽에 윤리적 상대주의의 문제 다섯번째에 등장한 문제점이 충분히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도덕적 진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상충하는 의견들 중 어느 하나가 참으로 옳은 의견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라고 되어있는데, 예시로 들어주신 청동설과 지동설이 충돌하는 것은 가치영역인 윤리가 아닌 과학적 지식이기에 일반적인 지식, 진리에 대해서는 객관적인 진리를 도출할 수 있지만 도덕적 진리에 관해서는 여전히 어느 것이 참인지 보편적인 규범을 도출할 수 없는 것 아닌가요?
2. 여덟번째 문제점으로 등장한 '사회 개혁'의 개념 성립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프로타고라스의 실용주의 윤리설에 의하면 '더 참된 의견'은 존재할 수 없지만 '더 나은 의견'은 존재할 수 있는데 그것이 사회의 관습은 이전부터 가장 실용적인 규범이 확립이 된 것이기 때문이잖아요. 그렇다면 역사가 발전하면서 더 실용적인 도덕을 발견하게 된다면 그것이 '더 나은 방향으로' 향하는 진보가 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