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교과교육 길리건 질문입니다.
- 작성자
- 신지수
- 등록일
- 2021년 01월 16일 14시 07분
- 조회수
- 102
- 첨부파일
-
안녕하세요, 1번에서 참고한 기본서는 정창우 교수님의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으로, p. 364에서 관련 내용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2번은 따로 참고한 기본서는 없고, 전에 들었던 학교 강의를 참고하여 질문 드렸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에 따르면 길리건은 따뜻한 배려를 강조하긴 했지만 정의를 무시하지 않았고, 이 둘의 조화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길리건이 제시한 또다른 도덕성의 목소리는 오히려 기존의 도덕적 영역을 확장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는데, 이에 대해 보충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김병찬 회원님의 글] ▒▒▒▒▒▒
질문 감사합니다.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 질문의 근거가 된 기본서를 읽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죄송하지만 출처를 알려주시면 확인 후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신지수 회원님의 글] ▒▒▒▒▒▒
1. 교재 p. 94~95에서 길리건이 상대주의를 옹호하지 않는다고 언급되고 있는데, 다른 기본서에서는 "길리건의 이론은 도덕적 선택의 해결로서 상대주의를 포용하고 있다"는 내용이 있어서 혼선이 생겼습니다. 혹시 어떤 식으로 이해하면 좋을까요?
2. 교재 p. 99에서 길리건 이론의 세번째 문제점으로 도덕적 영역 축소가 언급되고 있는데, 오히려 길리건이 관계에 머무르는 새로운 도덕성 발달을 정의함으로써 "도덕의 영역을 확대"했다는 다른 시각과 상충되는 것 같아 보여서 이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을 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