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도덕적 행동

작성자
이준
등록일
2021년 01월 18일 06시 14분
조회수
106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9강 - 약 28분 39초의 부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도덕적 행동을 위한 조건 = 좋은 욕구+ 올바른 이성 + 실천하고자 하는 욕구+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는 의지" 와 "실천적 지혜, 품성적 탁월성, 자제력 없음, 악덕(?)"과 연결에 차질이 생겨서 질문드렸습니다. 혹시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 1. 좋은 목적을 추구하는 욕구는 품성적 탁월성으로 이해했습니다. 2. 올바른 이성은 참인 도덕판단이자 좋은 목적을 위한 좋은 수단을 강구하는 능력, 즉 실천적 지혜로 이해했습니다 3. 실천하고자 하는 욕구는 일상적으로는 이해가 되지만(덕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욕구도 필요하기에), 배운 내용에 따르면 실천적 지혜에 포함되는 개념이라고 느꼈습니다. 4.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는 의지는 자제력으로 이해했습니다. 의지란 현재의 감정상태와 반하는 행위를 하는 능력 또는 마음이기에 자제력과 비슷했습니다. --------------------------------------------------------------------------------- 하지만 실천적 지혜와 품성적 탁월성을 가진 사람이라면 실천하고자 하는 욕구는 자연스럽게 지니고 있을거고,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는 의지는 실천적 지혜에 포함이 되는 개념일텐데 왜 아리스토텔레스가 굳이 3~4번을 추가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이미 두가지 덕을 지닌 사람은 정의적 요소가 필요없지 않나요? 아니면 1~2가 실천적 지혜와 품성적 탁월성이 아닌, 평소 의미에서의 좋은 욕구(마음은 좋은 목표를 원함)와 올바른 이성적 판단(머리로는 올바른 판단을 내림)을 말하는건가요? 그리고 혹시 1~4번에서 잘못 이해한게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ㅎㅎ ----------------------------------------------------------------------------------- 질문이 길어서 죄송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