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1주차 5강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1년 01월 18일 22시 52분
- 조회수
- 183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1. 절제와 정의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아래 답변글 3473번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플라톤의 덕복일치설에 의하면, 정의의 덕을 소유한 상태가 인간의 최선의 상태이고, 인간의 최선의 상태가 행복한 상태입니다.
2-1. 사주덕은 모두 지혜를 갖춘 이성의 인도에 따라 형성되는 덕입니다.
2-2. 플라톤의 정의에 따르면, 절제는 지혜로운 이성이 영혼의 다른 부분을 지도하고, 다른 부분이 이성의 명령을 따를 때 형성되는 덕입니다.
2-3. 플라톤의 정의에 따르면, 정의는 영혼의 각 부분이 각자 자신의 기능을 훌륭하게 발휘하고, 그것들의 조화를 이룰 때 형성되는 덕입니다. 따라서 정의로운 상태는 영혼이 지혜, 용기, 절제를 갖추어 자신의 기능을 전체적으로 훌륭하게 발휘하고 상태이고, 정의는 그러한 상태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내적인 힘이라 하겠습니다.
3. 네.
▒▒▒▒▒▒ [신영수 회원님의 글] ▒▒▒▒▒▒
교수님 강의 감사합니다.
플라톤의 덕론에서 궁금한 것 여쭙니다.
1. 절제, 정의, 행복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세 개념이 다 "이성에 의해 기개적인 부분과 욕망하는 부분이 통제되어 조화를 이루는 것"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제가 이해한 아래의 구분이 맞는지요?
절제:"이성에 의한 기개와 욕망의 통제"
정의:"이성에 의한 기개와 욕망의 통제"+"기개와 욕망의 제 역할 훌륭하게 수행"
행복:"이성에 의한 기개와 욕망의 통제"+"기개와 욕망의 제 역할 훌륭하게 수행"
이처럼 절제 개념에는 "이성에 의한 통제"만 있고,
정의와 행복의 개념은 여기에 "각 역할의 수행"이 추가된 것인가요?
2. 사주덕의 논리적 순서가 궁금합니다.
2-1. 용기, 절제, 정의 등 세 덕은 지혜의 덕이 있어야 생길 수 있는 덕인지요?
2-2. 절제의 덕은 지혜, 용기가 있어야 생길 수 있는 덕인지요?
2-3. 정의의 덕은 지혜, 용기, 절제가 있어야 생길 수 있는 덕인지요?
3. 덕복일치에 따라, 정의의 덕을 갖춘 사람과 행복한 사람은 동일한 것인지요?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