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기타]  교과교육 길리건 질문입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1년 01월 18일 23시 26분
조회수
154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1.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의 해당 부분에서 사용된 상대주의는 구체적인 도덕 문제 상황에 관여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도덕적 관점에 대한 이해 정도로 해석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도덕적 선택의 해결로서 상대주의를 포용한다는 말은 도덕 문제를 보편적이고 절대적 원리에 의거하여 해결하려 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와 그러한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들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도덕적 관점을 고려하여 도덕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보면 '윤리학과 도덕교육1'의 354쪽의 내용을 발췌한 제 교재의 내용, 즉 도덕적 행위 기준과 관련한 윤리적 상대주의의 관점을 길리건이 옹호하지 않는다는 내용과 말씀하신 내용 사이의 외견상 모순되어 보이는 점을 해소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2. 교재 99쪽의 내용은 길리건에 대한 다양한 비판자들의 주장을 단순히 취합해 놓은 것입니다. 그러한 비판들의 적절성 여부는 길리건의 주장을 기준으로 판단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인간의 도덕성 발달을 이해하는 데에 여성의 경험을 포함하면 인간 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정체감의 개념을 상호 연결의 경험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할 수 있고, 도덕적 범주도 인간 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을 배제한다는 전제에서 비폭력을 포괄하도록 확장할 수 있다."라는 길리건의 주장에 근거할 때 99쪽에 서술된 비판은 적절한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 [신지수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1번에서 참고한 기본서는 정창우 교수님의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으로, p. 364에서 관련 내용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2번은 따로 참고한 기본서는 없고, 전에 들었던 학교 강의를 참고하여 질문 드렸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에 따르면 길리건은 따뜻한 배려를 강조하긴 했지만 정의를 무시하지 않았고, 이 둘의 조화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길리건이 제시한 또다른 도덕성의 목소리는 오히려 기존의 도덕적 영역을 확장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는데, 이에 대해 보충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김병찬 회원님의 글] ▒▒▒▒▒▒ 질문 감사합니다.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 질문의 근거가 된 기본서를 읽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죄송하지만 출처를 알려주시면 확인 후 신속히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신지수  회원님의 글] ▒▒▒▒▒▒ 1. 교재 p. 94~95에서 길리건이 상대주의를 옹호하지 않는다고 언급되고 있는데, 다른 기본서에서는 "길리건의 이론은 도덕적 선택의 해결로서 상대주의를 포용하고 있다"는 내용이 있어서 혼선이 생겼습니다. 혹시 어떤 식으로 이해하면 좋을까요? 2. 교재 p. 99에서 길리건 이론의 세번째 문제점으로 도덕적 영역 축소가 언급되고 있는데, 오히려 길리건이 관계에 머무르는 새로운 도덕성 발달을 정의함으로써 "도덕의 영역을 확대"했다는 다른 시각과 상충되는 것 같아 보여서 이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을 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