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관련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1년 01월 20일 10시 14분
조회수
18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마지못해 비자발적으로 한 행위는 비자발적 행위입니다. 반면에 내켜서 하지 않은 행위는 무지로 말미암은 행위이기는 하나 비자발적으로 행한 것은 아닙니다. 2. 오탈자입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3.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는 물음입니다. 실천적 지혜와 품성의 탁월성의 소유를 행복 실현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 보는 학자도 있고, 그렇게 보지 않는 학자도 있습니다. 실천적 지혜와 철학적 지혜의 관계는 품성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의 관계와 같지 않습니다. 즉, 원칙적으로 실천적 지혜가 없어도 철학적 지혜가 있을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입니다. ▒▒▒▒▒▒ [김예진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아리스토텔레스 부분 강의 듣다가 궁금한 점 생겨서 질문합니다. 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1. 행위의 책임 문제에서 마지못해 비자발적으로 한 행위는 무지로 말미암은 행위이면서 비자발적인 행위에 해당하고, 내켜서 하지 않은 행위는 무지로 말미암은 행위지만 그 무지로 인해 후회와 고통이 동반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자발적 행위로 보기 어려운가요? 아니면 내켜서 하지 않은 행위는 무지로 말미암은 행위도 아니고, 비자발적 행위도 아닌 건가요? 2. 오탈자 관련-프린트 22쪽 강제적 행위의 성격에서 ‘~~ 행위자와 피행위자가 그 원인에 대해 어떠한 관여도 할 수 있는 행위’라고 되어 있는데, ‘없는’이 맞는 거죠? 3. 철학적 지혜를 가진 사람은 행복하다고 하셨습니다. -1) 그렇다면 철학적 지혜를 가진 사람은 실천적 지혜도 이미 가지고 있나요? -2) 반대로 실천적 지혜를 가졌다고 해서 행복한 것은 아니니, 실천적 지혜를 가졌다고 해서 철학적 지혜를 가진 것은 아닌 거죠? -3) 그럼 의술 없이도 건강한 경우가 있듯이, 실천적 지혜 없이도 행복할 수 있나요? -4) 철학적 지혜없이 실천적 지혜만을 가진 사람은 행복할 수 없는 것인가요? -5) 품성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는 서로가 없으면 서로가 존재할 수 없는 관계라고 배웠습니다. 철학적 지혜와 실천적 지혜는 그런 관계가 아닌 것이죠?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