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감사합니다.
1. ‘합리적 선택’ 개념은 일상적인 용어가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가 사용한 전문 용어로서,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한 장을 할애하여 그 성격을 설명하고 있을 정도로 중요한 개념입니다.
2. 제 교재에 합리적 선택의 성격에 대한 설명과 관련 원문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를 잘 숙지하시면 합리적 선택의 성격을 묻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3. 나올 만한 개념과 이론이 출제됩니다. 합리적 선택도 그러한 개념입니다. 그래서 합리적 선택이 출제되기 전부터 이 개념의 성격을 충분히 숙지할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4. 배우고 공부하지 않은 내용이 출제되면 당연히 틀릴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학자들의 주요 개념들과 개념들을 사용한 이론 내용을 원서 등을 활용하여 꼼꼼히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준 회원님의 글] ▒▒▒▒▒▒
2주차 1번째 강의 내용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합리적 선택"에 관해 강의하셨습니다.
내용 이해는 되었지만, 이 부분에서 평소 내용과 다른 느낌이 들어서 질문남깁니다.
평소 강의 내용은 사상의 핵심내용에 대한 강의였습니다. 예를들어 덕이란, 플라톤의 좋은 삶이란, 영혼의 기능이란 무엇인가? 이런식으로요.
하지만 '합리적 선택'은 저에게 "음...품성적 탁월성의 정의에 대한 설명이고 일상적 단어인데, 따로 키워드로 뽑아서 가르쳐야 하는 내용인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합리적 선택이란 당연히 수단을 선택하는 것이고, 품성적 탁월성에 관한 것이기에 좋은 목적을 지향해야겠죠.
외람되지만, 합리적 선택을 묻는 문제로 나온다면 여기까지만 작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의 제시문이 없다면, 비결정적이고, 목적에 관한 것이 아니고, 성취가능해야 하는 내용은 이끌어 내기는 지금의 저에겐 힘드네요.
그래서 궁금한 것은 이겁니다.
1. 합리적 선택에 관해 문제가 나왔다고 하는데, 어떠한 제시문도 없이 "비결정적이고, 목적에 관한 것이 아니고, 성취가능성"을 이끌어내야 하는건가요?
2. 기출로 나왔기 때문에 이를 학습해서 맞추는 것은 사후처방적 학습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이를 대비하기 위해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대비해야 할까요?
3. 배우지 않은 내용을 서술하게되면, 답안의 내용이 길어지고 비전문적인 용어 및 설명이 작성될 것인데 여기에 따른 문제는 없을까요?
===============================================================================================
초수인 탓에 괜한 걱정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 외의 조언도 감사히 듣겠습니다.
본문
댓글목록
이준의 댓글
이준작성일 2021-01-21 18:55:09
그렇군요 역시 기본부터 잡는 것이 정도인 것 같습니다. 차근차근 잡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