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키르케고르, 헤어, 헤겔
- 작성자
- 김예진
- 등록일
- 2021년 02월 11일 14시 51분
- 조회수
- 152
- 첨부파일
-
1. 키르케고르의 절망의 유형 중 절망을 알지 못하는 절망과 절망을 아는 절망이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절망을 아는 절망은 다시 두 종류로 나뉘는 건가요? 참된 자기자신을 찾으려 하지 않는 절망과 벌망하여 자기자신이고자 하는 절망 이렇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또한 절망을 알지 못하는 절망은 그냥 한 종류 인 것이죠? 그리고 절망을 알지 못하는 절망이 가장 최악의 절망인지도 궁금합니다.
2. 헤어의 보편적 규정주의를 설명하시면서 교수님께서 극장의 예를 들어주시면서 규정적 언어에 논리가 있다,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규정주의는 비인지주의에 속하기 때문에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없는 것 아닌가요? 이 부분이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3. 헤겔 강의자료 첫페이지에 계약을 설명하시면서 해당 프린트에 '자타의지의 상호 승인 관계, 나의 의지와 타인의 의지가 공통의지로 지양된 객관적 정신의 관계'리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공통의지로 지양된 것이 아니라, 지향된 것 아닌가요? 문맥상 그렇게 이해했는데 오타인지 아니면 제가 잘못 이해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