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이황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1년 03월 02일 19시 24분
조회수
646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사단은 본연지성이 발하여 나타난 정이고, 칠정은 기질지성, 좀더 정확히 기질지성 중 기질이 발하여 나타난 정입니다. 2, 3. 아시다시피 발하는 주체는 기고, 발하게 하는 원인자는 이라는 것이 주희의 정론입니다. 그런데 이황은 이기불상리와 이기불상잡이라는 이기의 기본 구조 중에서 이기불상잡의 측면을 강조하여 이와 기가 모두 스스로 발한다는 이기호발을 주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입장에 근거하여 사단을 이발기수, 칠정을 기발이승으로 규정합니다. 기발이승이란 기가 발하고 이가 발하는 기에 주재력을 행사할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상황을 지시하는 개념입니다. 발하는 기가 이치에 맞게 발하면 선한 칠정이 나옵니다. ‘이가 기를 주재한다’는 것은 이를 이르는 것입니다. 반대로 발하는 기가 이치에 어긋나면 불선한 칠정이 나옵니다. 이는 기에 대한 이의 주재력이 발휘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이가 명령하고 기가 이의 명령에 따르는 것이 순리입니다. 하지만 이는 이상적인 상황일 뿐입니다. 이황에 의하면, 군주의 권위를 무시하고 그의 명령에 순종하지 않는 신하가 있듯이, 어떤 조건 하에서 기가 이의 명령을 듣지 않고 스스로 작용하여 불선을 낳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불선한 칠정이 그와 같은 경우입니다. ▒▒▒▒▒▒ [김나윤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항상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황을 공부하다가 너무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칠정이 기가 발하고 리가 탄다는 측면을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1. 이황은 리기불상리의 관점에서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질지성이 정이 된 것이라는 것을 인정하지만, 무엇을 주로 말하느냐에 따라서 사단은 본연지성이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질지성이 발한 것이라고 생각하여 사단은 리발이요 칠정은 기발이라고 말한 것이 맞을까요? 2. 이황은 칠정이 기가 발하고 리가 발한 기를 주재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때 1번의 질문의 답이 맞다라는 것이라면, 도식화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질지성(리+기의 가림)-> 칠정-> 리의 주재. 이처럼 리는 감정의 원리로 그냥 발할 뿐이지만, 기의 탁박으로 인하여 원리에 따라 기가 발하는 것이 칠정이 되는 것인데, 그렇다면 이렇듯 발한 기를 어떤 리가 주재하는 것인가요? 기와 함께 발하는 리인가요? 하지만 그 리는 감정의 원리가 되는 리가 아닌가요,,? 어렵습니다,,, 3. 혹은 원리가 되는 리 없이 스스로 발하는 기라는 것이 존재하는 것인가요? 이황의 기발리승을 보면 마치 기가 혼자 발하고 이 발한 기를 리가 주재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리 없이 기가 혼자 발할 수 있다는 것이 이황의 입장인 것인가요?? 하지만 이황은 리가 명령을 하고 기는 이 명령을 듣는다고 이야기하지 않나요(청탁수박에 따라 리가 가려지지만),,,?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