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홉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1년 03월 23일 19시 26분
- 조회수
- 309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서술하시오.
홉스
9. ‘자신이 타인에게 허용한정도의 자유만 인정된다’를 서술할 필요는 없습니다.
16. 국가의 주권자가 개인의 소유권을 인정하는 시민법을 제정하여 실행할 때에만 비로소 개인은 소유권을 소유하게 됩니다. 따라서 소유권의 기원은 국가의 주권자의 명령 혹은 그가 제정한 법률입니다.
로크
2. 홉스에게 있어서 자연적 평등이란 정신적, 신체적 능력의 평등입니다.
16. 국가 권위에 대한 시민의 복종 의무의 도덕적 근거와 관련하여 홉스는 공공재 혜택론을 대표하는 사람이고 로크는 동의론을 대표하는 사람입니다. 이 점과 관련하여 박효종 교수의 저서 ‘국가와 권위’의 내용을 요약한 제 강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조서영 회원님의 글] ▒▒▒▒▒▒
홉스에 대해 공부한 후 학습포인트를 작성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의드립니다.
9. 양도불가능한 개인의 권리들이 지닌 공통점을 서술하시오
--> 제가 생각한 답은 '자연권 양도의 목적이 자기보전이므로, 자기보전을 위태롭게 하는 권리는 양도할 수 없다. 또 자신이 타인에게 허용한 정도의 자유만 인정된다.'입니다. 이렇게 써도 맞는건가요?
16. 국가에서 개인들이 행사하는 소유권의 기원이 무엇인가요?
---> 이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로크에 대해 공부한 후 학습포인트를 작성하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2. 자연상태에서 자연인이 누렸던 '자유와 평등'의 성격에 대한 홉스와 로크의 관점의 차이점을 서술하시오
--> 로크의 자연적 자유, 자연적 평등/ 홉스의 생명보존을 위한 무제한으로서의 자유는 알겠습니다. 그런데 홉스의 평등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16. 국가 권위에 대한 시민의 복종 의무의 도덕적 근거와 관련한 홉스와 로크의 입장의 차이점을 서술하시오.
---> 제가 작성했던 답은 홉스는 자연인들 사이의 상호계약이고, 로크는 시민들의 동의였습니다. 그런데 문득 홉스의 상호계약 역시 시민들이 동의하고 양도한 것이므로 잘못된 답인 것 같아 질의를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