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3~4월 강의질문]  롤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1년 04월 06일 20시 59분
조회수
302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일반화된 정의관, 공적인 정의관, 공공적 정의관은 동일한 개념입니다. 단, 공적 정의감은 정의관이 아니라 정의감입니다. 정의감의 의미를 확인하기 바랍니다. 2. 원초적 계약 상황 혹은 원초적 상황을 지시하는 개념이 원초적 입장입니다. 3. 제1우선성 규칙은 현실적 문제로 자유가 제한되는 두 경우인 덜 광범위한 자유의 경우와 덜 평등한 자유의 경우가 자유는 오직 자유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한 것입니다. 4. 교재 200쪽 원문의 (a), (b)가 조건입니다. 5. 아래 3612번의 답변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김예진 회원님의 글] ▒▒▒▒▒▒ 1. 롤스에게 일반화된 정의관, 공적인 정의관, 공공적 정의관, 공적 정의감 모두 같은 의미로 혼용할 수 있는 것인가요? 2. 원초적 입장과 원초적 상황, 원초적 계약 상황 모두 같은 단어로 혼용할 수 있는 것인가요? 3. 기본적 자유의 우선성과 제한-제1우성성 규칙 부분에서 교수님께서 자유는 자유를 위해서만 제한될 수 있다고 하셨고, 그 후에 덜 광범위한 자유와 덜 평등한 자유에 대해 설명해 주셨습니다. 각각의 개념에 대한 이해는 됐는데, 덜 광범위한 자유와 덜 평등한 자유가 자유를 위해 자유를 제한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인가요? 제2우선성 규칙과 덜 광범위한 자유, 덜 평등한 자유가 무슨 관계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4. 교수님께서 질서정연한 사회의 관점에서 보면 덜 광범위한 자유와 덜 평등한 자유가 부정의하지만 현실의 인간은 자연적 사회적 제약을 받기 때문에 이를 부정하지 말고 인정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걸 정당화할 수 있는 조건이 제시되어야 한다고도 하셨는데, 그 조건이라는 것이 뭔가요? 혹시 정의의 제2원칙인가요? 5. 효율성의 원칙이 어떤 사람의 기대치를 감소시키지 않고서는 다른 사람의 기대치를 높일 수 없는 방식의 사회 기본 구조라고 하셧는데, 일종의 제로섬 게임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통상적으로 알고 있던 효율성의 의미와는 조금 상이한 것 같아서 헷갈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