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홉스, 콜버그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1년 07월 06일 17시 48분
- 조회수
- 167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리바이어던이 국가입니다.
2. 네. 홉스에게 있어서 소유권은 국가의 주권자가 시민 개인의 소유와 관련된 법을 제정함으로써 보장되는 시민의 권리입니다. 따라서 소유권의 기원은 주권자의 명령, 즉 법입니다.
3. 같은 의미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 [김수빈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홉스랑 콜버그 공부하다가 질문이 생겨 남깁니다
1. 홉스에서 리바이어던과 코먼웰스 [국가]를 같은 것으로 봐도 되나요?
원문을 보면 리바이어던과 코먼웰스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쓰는 것 같아서 궁금합니다
2. 또 홉스에서 국가에서 개인들이 행하는 소유권의 기원을 어떤 것으로 봐야 할지 모르겠어요
" 소유권의 기원은 사회계약으로 설립된 주권이다. 주권이 설립되기 전, 만인에 대한 만인의 전쟁인 자연 상태에서는 만인이 만물에 대해 권리를 가지고 있었고 이는 전쟁의 필연적 원인이었다. 하지만 사회계약을 통해 자연상태에서 벗어나 주권이 설립된 이후 주권자로 인해 타인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신의 재산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 이렇게 봐도 될까요 교수님?
3. 마지막 질문은 콜버그 질문인데, 콜버그에서 사용하는 도덕적 이해라는 단어와 도덕적 사고, 도덕적 판단이라는 용어가 각각 같은 용어라고 봐도 되나요?
이렇게 생각한 이유는 도덕적 이해에서 도덕적 행위가 산출 / 도덕적 사고에서 도덕적 행위가 산출 / 도덕적 판단에서 도덕적 행위 산출 이라는 문장이 계속 앞에 단어들만 바뀌고 혼용되어서 쓰이는 것 같아서요 !
감사합니다 ! 항상 건강 조심하세요 !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