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실천적 지혜, 철학적 지혜, 행복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1년 07월 19일 19시 04분
- 조회수
- 206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행복이란 철학적 지혜가 아니라 철학적 지혜에 따른 관조적 활동입니다. 실천적 지혜가 이러한 행복 실현을 위한 본질적 수단인가?라는 물음은 곧 그러한 활동을 위해 반드시 실천적 지혜가 필요한가?라는 물음입니다. 달리 말해서 실천적 지혜는 철학적 지혜에 따른 관조적 활동을 위한 본질적 수단인가?”라는 물음입니다.
2. 목적은 행복이고, 행복의 본질은 철학적 지혜에 따른 관조적 활동입니다. 실천적 지혜는 이러한 성격의 행복의 실현을 위한 본질적인 수단일 뿐입니다. 그리고 실천적 지혜와 품성의 탁월성의 소유가 진정한 행복을 가져다 주지 못하는 이유는 그것들에 따른 활동이 최고선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못하기 때문입니다. 오직 철학적 지혜에 따른 관조적 활동만이 최고선을 조건을 충족시킵니다.
▒▒▒▒▒▒ [김찬양 회원님의 글] ▒▒▒▒▒▒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 철학적 지혜, 행복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철학적 지혜를 소유한 상태가 행복한 상태임으로, '실천적 지혜의 소유가 행복 실현의 본질적 수단이냐'의 문제와, '실천적 지혜가 철학적 지혜의 본질적 수단이냐'의 문제는 같은 의미일까요? 문풀 강의 때는 전자로 설명해주셨는데, 제가 서양 이론 강의를 듣고 한 필기에는 후자로 적혀있어서요 ㅠㅠ(교재 66쪽 실천적 지혜와 철학적 지혜의 관계 설명해주셨을 때요! 제가 잘못 필기한 거일 수도 있어요..)
2. 학자들끼리 이견이 있지만, 기출이나 교과서 같은 곳에서는 실천적 지혜가 행복의 실현에 본질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본다고 하셨습니다. 또 실천적 지혜의 소유는 이차적 행복만을 가져다 줄 뿐 엄밀한 의미에서의 행복은 가져다주지 못한다고 하셨는데요. 만약 실천적 지혜를 철학적 지혜의 본질적 수단으로 본다면, 왜 실천적 지혜를 소유하게 되었을 때 이차적 행복밖에 이룰 수 없는지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ㅠㅠ
실천적 지혜가 행복의 실현에 본질적으로 기여하냐를 얘기할 때의 행복이 이차적 행복을 뜻하는 걸까요? 그리고 '실천적 지혜의 소유가 행복 실현의 본질적 수단이냐'의 문제와, '실천적 지혜가 철학적 지혜의 본질적 수단이냐'의 문제는 다른 문제인걸까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