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
- 작성자
- 박미진
- 등록일
- 2021년 07월 26일 00시 21분
- 조회수
- 119
- 첨부파일
-
교수님 질문이 많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1. 튜리엘 사회적 지식의 세 가지 영역 특징 설명할 때, ‘도덕판단의 준거의 성격’은 어떤 판단을 인습적 판단이나 개인적 판단이 아니라 도덕판단이라고 할 수 있기 위한 조건?이고 ‘도덕판단의 정당화 근거’는 누군가가 내린 도덕판단이 정당한지 부당한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도덕판단의 준거’와 ‘도덕판단의 정당화 근거’ 의미가 살짝 혼동되어 여쭈어봅니다.
2. 나딩스 배려관계윤리로서의 배려 윤리의 특징에서. ‘타인에 대한 진정한 감응과 타인과의 관계의 성격을 통해 행위의 도덕성을 검증하려 한다’라는 말은 어떤 사람의 다른 사람에 대한 행위가 도덕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행위 그 자체를 보지 않고 두 사람 간의 관계의 성격을 봐야한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까요?
3. 나딩스에게 도덕적 행위가 지니는 도덕적 가치의 근원은 결국 배려하고 배려받았던 최상의 순간을 기억함으로써 자연적 배려의 감정을 유지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4. 나딩스에게 윤리적 이상은 최상의 상태에서 배려하고 배려받은 기억 속 나의 모습이자 그러한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아 모두를 의미하는 것인가요?
5. 기출분석교재 744쪽에서 (갑)인 프로이트 지문에서 굵게 표시된 ‘죄책감’은 수업에서 다룬 ‘양심’과 별개로 쓰인 말이겠죠? 양심도 부모가 지닌 부정적인 도덕적 규준을 내면화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 질문 올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