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이이의 성에 대한 질문이요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1년 08월 03일 19시 02분
- 조회수
- 263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이통기국설에 의하면, 유행지리를 천차만별이지만 만물에 통하는 본연지리의 본연은 변함이 없듯이, 기질지성이 인간의 현실적인 성이라 해서 본연지성이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이에게 있어서도 본연지성은 천지만물의 이치인 천리이자 마음의 본체이고, 도덕적 삶의 원칙입니다.
2. 본연지리와 유행지리의 구분과 차이를 잘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본연지리는 만물에 통하는 리, 즉 천리, 태극입니다. 따라서 본연지리의 측면에서 보면 사람의 리가 사물의 리입니다. 유행지리는 다양한 기질에 의해 리가 국한되어 생성된 개별자들의 이치인데, 이를 성과 관련하여 말하면 개별자들의 기질지성입니다. 유행지리 혹은 기질지성의 측면에서 말하면 사람의 성과 사물의 성은 다릅니다.
▒▒▒▒▒▒ [조혜정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교수님. 이이의 성론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어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1.
이이는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실제 드러나는 인간의 성에 초점을 맞추었기에
인간본성의 핵심을 '기질지성'이라고 보았잖아요.
그리고 이 기질지성은 천리인 리를 품수받은 본연지성에 기가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고,
기는 시공간에 국한되며, 청탁수박의 품질을 가지고 있기에
기질지성은 필연적으로 가선가악하잖아요?
그런데 기출문제 p 345에서 이이의 성에 대한 답이
'이것은 성이다. (나) 사상가에 의하면, 성은 천지만물의 이치인 천리이자 마음의 본체인 성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모든 인간의 마음에 내재하는 도덕적 삶의 원칙이다. 또한 그것은 성인이 되고자 하는 수양의 근본이 되는 마음가짐이기도 하다.'라고 하는 것이 이해가 안돼요.
------------------------------------------------------------------------------------------
2.
그리고 p 340~341. 3번문제와 관련해서
저는 주희 : 개체의 리 = 천리
이이 : 개체의 리와 천리는 다름
(천리를 품수받지만, 이 이는 기에 의해 국한되어 본연의 순수지선을 잃고 가선가악)
(그래서 만물의 개별적 이치와 성은 모두 다를 수 밖에 없다)
이렇게 이해를 했거든요
그런데 "사람의 성은 사물의 성과 다르지만, 사람의 이는 사물의 이와 같다."
심성정의일로설 관련 개념 성 = 천리가 사람에게 부여된 것으로서 마음의 체
이렇게 나와버리니까 개념이 흔들리면서 뭐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ㅠㅠ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