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하이데거, 메타윤리 질문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1년 09월 15일 13시 10분
- 조회수
- 196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세계-내-존재가 아닌 현존재는 없습니다. 따라서 ‘세계-내-존재 그 자체로서의 현존재’라는 용어는 ‘그 자체 세계-내-존재인 현존재’로 읽으시면 되겠습니다.
2. 도덕적 추론에 토대가 되는 인식의 방법을 검토하는 것, 즉 우리는 어떤 인지적 절차 혹은 인지적 구조를 통해 도덕적 추론을 도출하는 지를 연구하는 것이 메타윤리학의 한 과제입니다.
▒▒▒▒▒▒ [박미진 회원님의 글] ▒▒▒▒▒▒
1. 하이데거에서 불안의 대상을 '일상적 세계가 붕괴되면서 자신에게 섬뜩하게 드러나는 세계-내-존재 그 자체로서의 현존재'라고 설명해주셨었는데요! 저는 이것을 일상적 세계가 붕괴되면서 그 자체로 드러나게 되는 본래적 자기의 의미로 해석했는데 궁긍했던 점은 현존재라면 모두 '세계-내-존재'라고 생각했는데 굳이 '세계-내-존재 그 자체로서의 현존재'라고 설명해주신 이유입니다. 세계-내-존재가 아닌 현존재도 있는 건가요?
2. 교수님 메타윤리학의 과제 중 하나가 '도덕적 추론의 규칙과 인식의 방법 검토'라고 되어 있는데 인식의 방법이라고 하면 도덕적 추론 문장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검토한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까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