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4~5월 강의질문]  자유 개념, 다문화주의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1년 10월 20일 15시 30분
조회수
51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비지배로서의 자유’와 ‘비간섭으로서의 자유’라는 개념을 발명한 학자는 현대의 신로마 공화주의자인 페팃입니다. 그는 소극적 자유의 본질을 외부의 간섭이 없는 상태로 보고, 그것을 비간섭으로서의 자유로 표현하였습니다. 2. 페팃에 의하면, 비지배로서의 자유는 적극적 자유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비지배로서의 자유는 광범위한 정치 참여의 자유를 함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공화주의의 자유를 비지배로서의 자유로 보는 관점은 신로마 공화주의자들의 관점이지, 신아테네 공화주의자들의 관점이 아닙니다. 후자는 공화주의의 자유의 본질을 자치로 봅니다. 3. 밀과 토크빌의 자유 개념의 성격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소극적 자유, 적극적 자유는 벌린이 사용한 개념이고, 비지배로서의 자유, 비간섭으로서의 자유는 페팃이 사용한 개념입니다. 그와 같은 개념을 가지고 다른 사상가의 자유 개념을 이해해 보려는 시도는 의미 없는 작업은 아니나,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학자들이 사용한 개념은 그 학자가 정의한 바 그대로 이해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벌린 문제입니다. 따라서 비간섭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5. 동일한 성격으로 것으로 보셔도 무방합니다. ▒▒▒▒▒▒ [김예진 회원님의 글] ▒▒▒▒▒▒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 비지배로서의 자유와 비간섭으로서의 자유 개념이 잘 확립되지 않고, 계속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1. 소극적 자유는 로크식 18세기 자유주의에서 주창하는 자유이자, 비간섭으로서의 자유와 같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2. 비지배로서의 자유는 공화주의적 자유로, 적극적 자유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일까요? 아니면 적극적 자유는 고전 공화주의와 신아테네 공화주의에서 말하는 '자치'와 관련된 것인가요? 3. 밀과 토크빌이 주창한 새로운 자유 개념은 시민의 덕성과 관련한 것으로 아는데, 그럼 저 4가지 자유 중 어디에 해당한다고 보면 될까요? 4. 기출 분석 교재 542쪽의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이 ''소극적, 적극적이라고 되어 있는데, '비간섭, 적극적'도 혹시 답이 될 수 있을까요? 기출분석 교재 555쪽을 보면, 다문화주의의 종류로 샐러드볼, 국수대접, 모자이크가 나옵니다. 샐러드볼과 국수대접의 차이점은 알겠으나, 샐러드볼과 모자이크 이론이 상당히 유사해 보입니다. 샐러드볼과 모자이크 이론의 정확한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감사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