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9~10월 강의질문]  3회 모의고사 전공B형 1번 소크라테스 질문입니다.

작성자
이한아
등록일
2021년 10월 22일 14시 08분
조회수
176
첨부파일
3회 모의고사 전공B형 1번 소크라테스 질문입니다. 여기서 지덕일치설에 대해 설명해주시면서 <메논>에 나타나 있는 지덕일치의 논리를 설명해주셨는데요. 풀이에 있는 소크라테스 관련 <메논>에 나타나 있는 지덕일치의 논리의 주요내용을 보면 <덕은 좋은 것이다. 모든 좋은 것은 유익한 것이다. 따라서 덕은 유익한 것이다. 사람이 소유한 것들은 유익하기도 하고 해가 되기도 한다. 그것들은 지혜롭게 이용하면 유익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해가 된다. 따라서 좋고 유익한 모든 것은 지식(지혜)에 따라 그것을 바르게 사용하기 때문에 그러한 것이다.  정신적인 것들도 마찬가지이다.  덕은 정신적인 것이고, 언제나 좋고 유익한 것이다.   따라서 덕의 본질은 지식이다.> 요렇게 적혀져 있는데 이말은 즉  '덕' 이라 부를 땐 이미 언제나 유익한거 이고, 인간에게 '덕'이라는 것 자체가 이미 지식을 본질로 하고 있는 개념아닌가요? 저는 이렇게 이해를 했는데 ebs수능완성 선지랑 다른 부분이 있어서요. 수능완성112쪽 2번의 선지 3번 소크라테스의 틀린 선지로 소크라테스 : 용기의 덕 그자체는 행위자에게 절대적으로 유익한 것이다.<틀린 선지> 가 틀린이유를 잘 모르겠어서요. 강의와 해설지를 보니 해설지에는 '소크라테스는 용기의 덕 그 자체는 유익하지도 해롭지도 않다고 보았다. 그는 옳고 그름에 대한 앎의 안내를 받아야 용기의 덕이 유익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라고 나와있는데요.. 위에 메논편을 참고로 한 논의대로 한다면 소크라테스에게 있어서 이미 '덕'이라 함은 지식을 본질로 하는 좋고 유익한것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해서요. 실제로 기출된 소크라테스 원문들을 보면 <덕이 영혼 속에 있는 것들 가운데 하나이고 필연적이으로 유익하다면, 그것은 앎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영혼에 관련된 모든 것들은 그 자체로는 유익하지도 유해하지도 않지만, 앎이 더해지느냐 무지가 더해지느냐에 따라 유익하게도 유해하게도 되기 때문이다> 라는 원문에서도 '영혼에 관련된 모든 것들'은 그자체로는 유익하지도 유해하지도 않다고 했지만 이미 '덕'이라고 말할땐 덕은 앎이 포함된 개념이라 할 수 있으니 그 자체 유익한게 아닌가? 이런 의문이 들어서요.. 결국 문제에서 말하고자 하는건  즉 3번선지에서 덕 그자체라는건 덕있는 인간에서의 덕이라는게 아니라 그냥 덕이라는 개념 자체를 의미한건가요? 그렇다 하더라도 인간과 분리된 '용기라는 덕 자체' 가 있나요? 용기라는 덕도 이미 인간의 고유한 기능인 이성을 탁월하게 발휘해서 나온 결과가 아닌가요? 이 논리대로 하면 '용기의 덕'이라기보단 용기라는 영혼의 관련된 모든것들 ? 이런 느낌으로 말해야 되지않나 해서요. 그리고 위에의 3번 선지를 아리스토텔레스 입장이라고 했을때도 틀린선지인지도 궁금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