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월 강의질문] 모의고사 4회 B형 3번 레스트 문제 관련 질문 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1년 10월 27일 15시 09분
- 조회수
- 18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도덕판단의 인지적 구조란 도덕 발달 단계를 말하는 것이므로, 도덕판단의 인지적 구조에 대한 관점의 차이점을 서술하라는 요구는 도덕 발달 단계에 대한 관점의 차이점을 서술하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입니다. 콜버그가 도덕판단의 인지 구조 혹은 발달 단계를 정의 조작으로 규정한 반면, 레스트는 그것을 대인간 상호 기대의 조정과 손익의 균형화라는 두 요소로 재정의하였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말씀하신 내용은 답안으로 처리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해당 문제의 출처는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69쪽의 서술 내용이고, 거기에는 ‘도덕판단의 인지적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관점에서 콜버그와 레스트의 차이점’으로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제시되어 있습니다. 첫째, 레스트는 피험자가 어떤 한 단계에 있다고 가정하지 않는다. 레스트에게 있어서 인지 구조의 변화는 급진적이라기보다는 점진적으로 일어난다. 셋째, 레스트는 피험자들이 자신의 단계를 반드시 선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이해한 최고 단계를 보다 선호한다. 제 예시 답안은 이에 근거하여 작성된 것입니다. 그런데 질문을 보고 반성해 보니 제가 언급한 저서의 내용만에 매몰되어 예시답안을 작성하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시 한번 질문 감사드립니다.
▒▒▒▒▒▒ [조세연 회원님의 글] ▒▒▒▒▒▒
문제의 답이 레스트의 도덕발달에 대한 관점(인지구조의 변화는 급진적인 것이 아닌 점진적인 것)이었는데, 제가 답안으로 콜버그와 비교되는 레스트의 도덕발달의 두 가지 차원, 즉 대인 간 상호 기대의 조정과 손익의 균형화를 작성하였습니다.
이것도 답안으로 처리되는 건가요? 답안으로 처리되지 않는다면, 시험에 이 논점 관련 문제가 나왔을 때 저 두 이론을 어떻게 구별하여 작성해야 하나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