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기타]  지관 정혜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1년 11월 10일 11시 30분
조회수
247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사상가들에 의해 사용된 지, 관, 정, 혜의 일반적 의미는 동일합니다. 다만 원효 같은 경우 일심의 이문과 관련하여 지, 관을 설명하기 때문에, 이문을 포함하여 서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이준 회원님의 글] ▒▒▒▒▒▒ 원효, 의천, 지눌이 지관, 정혜를 얘기합니다. 그런데 약간의 표현차이가 있을 뿐 비슷한 의미를 뜻하던데, 이 차이를 전부 엄격하게 구분하여 작성해야 하는 건가요? 아니면 지,관,정,혜의 의미에 해당하면 되는 건가요? 예를 들면 EX. 원효- 지: 심진여문에 의해 사념과 망상을 막아 마음을 한 곳에 머무르게 하는 것 (대신 -> 심진여문에 의해 마음의 혼란함을 고요하게 하여 마음을 한 곳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렇게 작성하고) 관: 심생멸문에 의해 상대되는 경계를 식별함 (대신 ->심생멸문에 의해 제법의 실상을 그대로 인식하는 것<-이렇게 작성하고) EX. 의천 지: 사벽심을 쉬게하는 것으로 마음의 산란과 동요을 진정시키는 정 혹은 선정 (대신 ->산란한 마음을 고요하게 하여 마음이 한 곳에 머무르는 것) 관: 보리심을 펼치는 것으로 혜, 즉 반야의 지혜 (대신 -> 제법의 실상을 그대로 보는 지혜)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