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 작성자
- 김현서
- 등록일
- 2022년 01월 09일 11시 29분
- 조회수
- 161
- 첨부파일
-
교수님 안녕하세요!
올해 교수님의 강의를 새롭게 신청하여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 부분 강의를 들은 후 복습을 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궁금한 내용이 생겨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질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교재 55p에서 품성적 탁월성의 유를 정의내리는 과정에서 '품성상태'라는 단어가 나오고, 교재 61p에서 학문적 인식 부분의 탁월성 세 가지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또 다시 '품성상태'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강의 중 교수님께서 그 두 가지의 품성상태가 다른 뜻이라고 말씀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품성상태'라는 개념 때문에 품성적 탁월성과 지적인 탁월성의 개념이 혼동됩니다 :( 각각의 개념에서 나오는 '품성상태'의 뜻이 정확히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2. 교재 65p에 실천적 지혜와 품성적 탁월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연적 품성'이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이 개념에 대해 추가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자연적 품성의 의미는 무엇인지, 예시는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3. 교재 70p 합리적 선택 부분 중 첫번째 원문 박스에 '숙고에 따라 욕구하는 것'이라는 문장이 나오는데, 여기서 말하는 '욕구'가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사전적 의미의 욕구와 다른 의미로 반복되어 사용되고 있다고 생각되어 여쭤봅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첫 번째로 마주하게 될 큰 산이라고 말씀해 주셨는데 정말 왜 그렇게 말씀하셨는지 복습을 하며 너무 많이 깨우쳤습니다.....
그래도 끝까지 놓치않고 교수님수업 들으며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