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01월 10일 13시 22분
- 조회수
- 30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품성의 탁월성의 성격을 설명할 때 등장하는 ‘품성상태’에 대한 정의는 품성의 탁월성에만 적용되며, 지적인 탁월성을 정의할 때 사용된 ‘품성상태’는 ‘굳어져 있는 내적 성향’이라는 일반적 의미를 지닌 용어입니다.
2. 자연적 품성 혹은 자연적 탁월성은 정의로운 품성, 절제있는 품성, 용감한 품성 등과 같이 인간이 가지고 태어나는 선천적이고 본성적인 훌륭한 품성을 말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자연적 품성들은 그 자체로 완전한 품성, 달리 말해서 엄밀한 의미의 탁월성이 아닙니다. 그것은 노력을 통해 엄밀한 의미의 탁월성으로 완성되어야 할 일종의 씨앗으로서, 그것을 완성시키는 것이 습관입니다.
3. 숙고에 따라 욕구한다는 말은 합리적으로 선택된 것을 실제 행위로 실현하고자 욕구한다는 말입니다. 여기서 ‘욕구’는 사전적 의미를 지닌 용어입니다.
▒▒▒▒▒▒ [김현서 회원님의 글] ▒▒▒▒▒▒
교수님 안녕하세요!
올해 교수님의 강의를 새롭게 신청하여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 부분 강의를 들은 후 복습을 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궁금한 내용이 생겨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질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교재 55p에서 품성적 탁월성의 유를 정의내리는 과정에서 '품성상태'라는 단어가 나오고, 교재 61p에서 학문적 인식 부분의 탁월성 세 가지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또 다시 '품성상태'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강의 중 교수님께서 그 두 가지의 품성상태가 다른 뜻이라고 말씀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품성상태'라는 개념 때문에 품성적 탁월성과 지적인 탁월성의 개념이 혼동됩니다 :( 각각의 개념에서 나오는 '품성상태'의 뜻이 정확히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2. 교재 65p에 실천적 지혜와 품성적 탁월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연적 품성'이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이 개념에 대해 추가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자연적 품성의 의미는 무엇인지, 예시는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3. 교재 70p 합리적 선택 부분 중 첫번째 원문 박스에 '숙고에 따라 욕구하는 것'이라는 문장이 나오는데, 여기서 말하는 '욕구'가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사전적 의미의 욕구와 다른 의미로 반복되어 사용되고 있다고 생각되어 여쭤봅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첫 번째로 마주하게 될 큰 산이라고 말씀해 주셨는데 정말 왜 그렇게 말씀하셨는지 복습을 하며 너무 많이 깨우쳤습니다.....
그래도 끝까지 놓치않고 교수님수업 들으며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