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플라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01월 10일 13시 32분
- 조회수
- 228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절제는 어느 한 부분의 고유한 덕이 아니라 모든 부분이 갖추어야 할 전체의 덕입니다. 따라서 절제를 욕구하는 부분의 고유한 덕이라 해서는 안 됩니다.
2.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저의 평가는 이번 주 강의 시간에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 지혜는 이성적인 부분의 고유한 덕이고, 용기는 기개적인 부분의 고유한 덕입니다. 달리 말해서 이성적인 부분은 용기의 덕을 소유할 수 없고, 기개적인 부분은 지혜의 덕을 소유할 수 없습니다.
▒▒▒▒▒▒ [박민선 회원님의 글] ▒▒▒▒▒▒
안녕하세요! '플라톤' 부분 수업을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남기게 되었습니다.
p.40~44 영혼삼분설과 4주덕설 파트입니다.
1) 4주덕설 설명하실 때, 이성의 고유한 덕은 지혜, 기개의 고유한 덕은 용기, 욕구하는 부분에는 고유한 덕이 없다라고 말씀하시고, 절제는 이성이 기개와 욕구를 지배하고 이러한 합의 혹은 의견일치라고 하셨습니다.
교재에 절제는 어느 한 부분에 속하는 덕이 아니라 모든 부분이 갖추어야할 '전체의 덕'이라고 나와있으므로 욕구의 고유한 덕을 절제로 보면 틀린 것인가요?
미래엔 '윤리와사상'교과서에서 '플라톤은 욕구는 절제, 기개는 용기, 이성은 지혜의 덕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라고 나와있습니다.
그래서 욕구의 고유한 덕을 절제라고 보면 틀린 것인지, 절제에는 고유한 덕은 없지만 절제는 전체의 덕이기 때문에 욕구-절제로 보아도 무관한지 궁금합니다.!
2) 앞의 설명을 조합해보면 이성-지혜,절제(전체의 덕이므로) / 기개-용기,절제 / 욕구-절제의 덕이 있다는 결론이 나오는데 이때 기개는 이성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이성은 용기의 덕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나요? 만약 이성이 용기의 덕도 가지게 된다면 기개의 덕인 용기를 기개의 고유한 덕이라고 볼 수 없지 않나요?
항상 좋은 수업 감사합니다 :-)!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