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질문 드립니다.

작성자
최문주
등록일
2022년 01월 17일 16시 53분
조회수
151
첨부파일
우선, 질문에 앞서 양질의 강의를 제공해 주신 덕택에 풍부하게 공부할 수 있음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서양 윤리 본 교재를 공부하는 도중 몇가지 의문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아리스토텔레스처럼 쾌락에 질적인 우열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쾌락주의라 할 수 없다고 강의에서 배웠습니다.그런데 에피쿠로스의 경우 정적 쾌락이 동적 쾌락에 비해 우월하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는 동시에 소극적 '쾌락주의'로 분류되는데 이 부분에서 개념의 혼동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2.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최종적으로 '철학적 지혜를 따르는 관조적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철학적 지혜'는 신적인 앎과 관련된 탁월성이라는 점에서 '참된 행복(철학적 지혜를 따르는 관조적 활동) = 신을 '관조'함으로써 얻게 되는 행복'이라 명명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3. 아리스토텔레스가 '목표'와 '목적'의 개념을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어떠한 점에서 다른지가 궁금합니다. 4. 강좌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악인도 합리적 선택을 한다'라고 말씀해 주셨는데, 이 말의 의미를 자제력 없는 사람도 합리적 선택을 하기는 하지만 행동으로까지 욕구할 수 없는 경우로 비추어 이해하면 될까요? 5. 벤담과 밀이 각각 쾌락=행복으로 보고 있는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벤담은 쾌락을 곧 행복과 동일시하고 있으며 밀은 양자를 다르게 파악한다고 알고 있는데, 밀이 어떠한 점에서 쾌락과 행복을 동일시 하지 않는지에 대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