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소피스트 질문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01월 19일 11시 01분
- 조회수
- 173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구체적인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그 문제를 해결하는 실용적 능력과 관련하여 더 나은 도덕적 의견과 덜 나은 도덕적 의견이 존재합니다. 이처럼 실용성을 기준으로 도덕판단 혹은 도덕 규범들 사이의 우열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어떤 구체적인 도덕 문제 상황에서 더 나은 의견이 모든 경우에 있어서 더 나은 의견인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보편적인 도덕적 진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요컨대 우열 판단 기준으로 실용성은 보편적이고 영원불변하는 도덕적 진리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기준이 아니라, 우리가 처한 구체적인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우리가 어떤 도덕적 행위 규범을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기준입니다.
▒▒▒▒▒▒ [양서영 회원님의 글] ▒▒▒▒▒▒
보충자료 5p
프로타고라스 윤리적 상대주의에서 "우열을 판단해주는 보편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라고 하였는데 실용주의에서는 "도덕의 우열을 판단하는 기준은 현실 문제의 해결과 관련한 실용성 유무이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이에 프로타고라스가 도덕의 우열성을 인정한것인지 부정한것인지 의문이 듭니다. 더 나은 의견이 있고 더 나은 의견의 구분기준이 실용성이라는것은 이해가가는데 우열판단기준이라는 키워드가 헷갈려 질문드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