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2년 02월 03일 19시 18분
조회수
230
첨부파일
개인 사정으로 답변이 늦었습니다. 죄송합니다. 1. 원문의 주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행복은 최고선이다. 그런에 만약 최고선이 여러 형태의 좋음들 중에 어떤 하나의 것이라면, 그것에 다른 좋음이 결합하면 더 좋은 것이 될 것이다. 그런데 최고선은 자족적인 것이다. 따라서 최고선은 여러 형태의 좋음들 중 어떤 하나의 것이 아니다. 즉, 최고선인 행복은 모든 좋음들 중 가장 선택할만한 것이지만, 여러 형태의 좋음들 중 어떤 하나의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2. 실천적 지혜 없이는 품성의 탁월성은 존재할 수 없고, 실천적 지혜를 소유하면 모든 종류의 품성의 탁월성을 소유하는 것은 맞지만, 품성의 탁월성이 곧 실천적 지혜인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없이는 자식은 존재할 수 없고, 부모가 있다면 자식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자식이 곧 부모가 아닌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품성의 탁월성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올바른 이성 뿐만 아니라 올바른 감정, 의지, 행동의 습관이 있어야 합니다. ▒▒▒▒▒▒ [양서영 회원님의 글] ▒▒▒▒▒▒ 1. p51/최고선의 조건, 자족성에서 다른 좋은 것이 부가되면 더 좋은것이 되는것이란 최고선은 아니다라고하였습니다. 그런데 원문에서 '좋음들 중에서 가장 작은 것을 행복에 덧붙일 경우 행복은 더 선택될 만한 것이 될게 분명하다. 덧붙여진 것은 좋음의 증가분이 되며, 좋음들 중에서는 더 큰 것이 언제나 더 선택할 만한 것이니까'이 문장에서 덧붙여진것은 좋음의 증가분이 된다는것이 위의 자족성과 맞지 않다고 이해가 됩니다. 원문을 잘못이해하고 있는건가요? 2. p68/ 덕들의 분리 불가능성에서 실천적 지혜를 소유한 사람이 모든 종류의 품성의 탁월성을 소유하고 있다고 하였는데 p67 소크라테스의 지덕일치설 비판에서 모든 탁월성이 실천적 지혜는 아니다라는 주장과 반대되는 주장이 아닌지 헷갈려 질문합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