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니코마코스 윤리학 관련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02월 03일 20시 36분
- 조회수
- 133
- 첨부파일
-
개인 사정으로 답변이 늦었습니다. 죄송합니다.
분석론 후서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귀납은 인식 대상에 대한 관찰 자료에 근거하여 일반 원리를 도출하는 수준을 넘어 보편적 원리를 직접적으로 직관하는 일종의 통찰력, 달리 말해서 인식 대상에서 본질적인 것을 발견하는 능력을 지시하는 개념입니다.
▒▒▒▒▒▒ [김예진 회원님의 글] ▒▒▒▒▒▒
강의에서는 그렇기 때문에 그 제일원리를 직관적 지성을 통해서 알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들었는데, 첨부파일에서 밑줄친 부분에 따르면 그것들은 귀납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어 충돌하는 것 같아 보입니다.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옳을까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