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야스퍼스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2년 02월 15일 18시 55분
조회수
170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현존재를 위한 폭력적 투쟁은 한계상황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인간의 힘으로 변경 불가능한 것 혹은 결코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인간의 현존재를 압도하여 현존재의 내면에 좌절과 절망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현존재를 위한 폭력적 투쟁이 실존 회복의 계기가 되는 이유는 그러한 투쟁의 불가피성 앞에서 현존재는 좌절하고 절망하기 때문입니다. 실존 회복과 관련하여 야스퍼스에게 중요한 것은 한계상황 그 자체가 아니라 한계상황에 직면한 현존재의 좌절과 절망입니다. 왜냐하면 한계상황에 직면하여 좌절하고 절망할 때 현존재는 그러한 좌절과 절망의 체험에서 드러나는 초월자와의 사귐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장보승 회원님의 글] ▒▒▒▒▒▒ 김병찬 교수님 안녕하세요! 학습포인트 3번 현존재가 직면하는 특수한 한계상황의 종류로 야스퍼스가 제시한 것의 성격을 모두 서술하시오.를 쓰다가 의문이 들어서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야스퍼스가 제시한 4가지의 한계상황 중에서 투쟁의 한계상황 설명하실 때. 투쟁을 두 종류로 나누셨는데 현존재를 위한 폭력적 투쟁도 투쟁의 한계상황이 맞나요? 제가 질문을 한 이유는 실존을 위한 사랑의 투쟁은 실존과의 사귐을 통해 본래적 존재에 이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반면, 현존재를 위한 폭력적 투쟁은 그 자체로 절망과 좌절을 겪게 하여 실존으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한계상황은 아닌 것 같아서요. 물질적 욕망이랑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투쟁은 그 자체로 실존으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기에 한계상황이 아니라, 현존재를 위한 폭력적 투쟁은 죄책을 유발하여야만 한계상황이 되는 것 같이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현존재를 위한 폭력적 투쟁은 투쟁의 한계상황이 아니라, 그냥 투쟁 맞나요? 아니면 투쟁의 한계상황 맞나요? 투쟁의 한계상황이라면 현존재를 위한 폭력적 투쟁이 겪는 좌절이나 절망, 그리고 실존으로의 이행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답변부탁드립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