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밀의 정의의 문제 질문

작성자
김지민
등록일
2022년 04월 08일 23시 47분
조회수
115
첨부파일
1. 공리주의 비판가들이 공리주의의 결과주의적 성격이 우리의 통상적인 정의감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고 했는데 여기서 통상적인 정의감이란 정확하게 무엇일까요? 그리고 정의감이 왜 공리주의의 결과주의적 성격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는지 궁금합니다. 2. 제가 강의에서 들을 때는 통상적인 정의란 결과와 관련 없이 마땅히 가져야하는 도덕적 응분, 비례적 정의라고 설명하셨거든요, 예를 들면 교실에서 마땅히 상을 받을 만하니까 받고, 벌을 받을만 하니까 받는 것들이요. 그리고 마땅이 벌 받을 짓을 하진 않았지만 하나가 잘못했다고 반 전체가 모두 혼난다는 것이 공리주의자들의 입장에서 결과론적으로 봤을 땐 훈육이 되어 사회적 유용성을 높일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통상적인 정의관점으로 보았을 때는 비례의 원칙을 어기고 있으므로 부합하지 않는다. >> 저는 이렇게 이해했고 여기까지는 이해가 됐는데... 3. 공리주의 비판가들이 비판한 내용과 밀이 그 비판에 대해서 반론을 펼친 부분이 연결이 잘 안됩니다.. 통상적인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는데 밀은 아예 새롭게 정의를 다시 정의해서.. 제가 느끼기엔 완전 다른 소리를 하는 것처럼 느껴져서 혹시 다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ㅠㅠ **정확히 "비판가들이 공리주의의 결과주의적 성격이 우리의 통상적인 정의감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밀을 그러한 정의감의 궁극적 토대가 공리의 원리임을 밝힘으로써 정의과 관련하여 공리주의에 제기된 비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 이 부분에 대해서 다시 설명해주실수있을까요..ㅜㅜ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