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장다은
- 등록일
- 2022년 05월 30일 17시 29분
- 조회수
- 143
- 첨부파일
-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교재 9p)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선천적인 본능으로서의 성적ㆍ공격적 충동과 후천적인 초자아가 내재되어 있는 정신의 부분'이라고 써있습니다. 이때 선천적인 본능으로서의 성적ㆍ공격적 충동은 원초아를 의미하는게 맞나요?
2.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교재 37p)
2-1. 반두라에게는 사회적 제재와 개인적 제재라는 두 가지 형태의 제재 메커니즘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기 규제 메커니즘이란 개인적 제재에 해당하는 것인가요?
2-2. 반두라에게 도덕성이란 자기 규제 메커니즘을 의미하는게 맞나요? 아니면 외적인 사회의 도덕규칙이 내면화된 것이라고 보아야 하나요?
3.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교재 46p)
비평형이란 '새로운 경험을 개존의 잊지구조에 "동화시키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지적 갈등상태'인데, 이렇나 비평형은 '조절을 동반하거나 "조절 없이 자극을 동화시켜" 나감으로써 평형에 도달한다'고 쓰여있습니다. 요지는, 동화시키지 못해 발생하는게 비평형 상태인데, 어떻게 동화시켜 평형상태로 나아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저에겐 이 문장들이 모순이라고 느껴졌습니다.
4. 레스트의 도덕심리학 (교재 76p)
교재에 레스트의 2가지 도덕 발달 징표는 '공유된 기대에 관한 개념으로 목표와 계획을 조화시키기 위해 규칙은 어떻게 알려져야 하고 공유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념'과 '안정적인 사회 조직을 이루기 위해 이익을 어떻게 조화시켜야 할 것인가에 대한 개념'이라고 쓰여있습니다. 보충자료에는‘대인간 상호기대의 조정과 손익의 균형화라는 두 요소에 대한 피험자의 개념화 수준이라고 쓰여있습니다. 교재와 보충자료 모두 같은 의미로서, 둘 중 아무거나 선택해서 서술해도 되나요?
5.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이론 (교재 85p)
5-1. 도덕적 정체성은 도덕적 이해가 성격의 중심으로 통합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라고 했는데, 이때 성격 대신 자아 또는 정체성을 써도 같은 의미인가요?
5-2. 도덕적 정체성은 도덕적 이해가 성격의 중심으로 통합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라고 했는데, 이때 도덕적 이해가 도덕성과 같은 개념이라고 보아도 되나요?
5-3. 도덕적 인격과 도덕적 정체성은 같은 개념인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