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 강의질문] 교과교육론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05월 31일 20시 08분
- 조회수
- 425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원초아는 무의식에 감춰져 있는 생득적 ∙ 본능적 ∙ 원초적 욕구와 충동이 자리잡고 있는 인성의 한 요소 혹은 영역이자, 쾌락 원리에 따라 그러한 욕구와 충동을 충족시키려고 작용하는 인성의 한 요소입니다.
2-1. 네.
2-2. 자기 규제 메커니즘입니다.
3. 새로운 경험을 기존의 인지구조에 동화시키지 못하는 사태의 원인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새로운 경험은 기존의 인지 구조에 동화될 수 있는 성격을 지니지만, 인지 구조의 소유 주체가 그것을 원화하게 기존의 인지 구조에 동화시킬 수 없을 때 인지적 비평형이 발생합니다. 둘째, 기존의 인지 구조로는 새로운 경험을 동화시킬 수 없을 때, 달리 말해서 인지 구조의 소유 주체가 조절에 실패하였을 때 인지적 비평형이 생겨납니다. 따라서 인지적 비평형은 조절 없이 새로운 경험을 기존의 인지 구조에 동화시키거나 혹은 조절을 통해 새로운 인지 구조를 구성하여 새로운 경험을 그것에 동화시킬 때 해소될 수 있습니다.
4. 네.
5-1. 자아 또는 정체성이라 해서는 안 됩니다. 성격은 수많은 요소들로 이루어진 조직체로서, 자아와 정체성은 그러한 성격의 중심이 되는 것입니다. 요컨대 성격은 자아 혹은 정체성보다 외연이 넓은 개념입니다.
5-2. 네.
5-3. 네. 블라지의 도덕적 인격 모델은 도덕적 정체성에 대한 인격적 관점의 모델이라 불립니다. 즉, 도덕적 인격 모델은 도덕적 정체성을 도덕적 인격이라는 관점에서 그것의 형성과 기능에 대해 밝힌 모델입니다.
▒▒▒▒▒▒ [장다은 회원님의 글] ▒▒▒▒▒▒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교재 9p)
프로이트의 무의식은 '선천적인 본능으로서의 성적ㆍ공격적 충동과 후천적인 초자아가 내재되어 있는 정신의 부분'이라고 써있습니다. 이때 선천적인 본능으로서의 성적ㆍ공격적 충동은 원초아를 의미하는게 맞나요?
2.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교재 37p)
2-1. 반두라에게는 사회적 제재와 개인적 제재라는 두 가지 형태의 제재 메커니즘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기 규제 메커니즘이란 개인적 제재에 해당하는 것인가요?
2-2. 반두라에게 도덕성이란 자기 규제 메커니즘을 의미하는게 맞나요? 아니면 외적인 사회의 도덕규칙이 내면화된 것이라고 보아야 하나요?
3.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 (교재 46p)
비평형이란 '새로운 경험을 개존의 잊지구조에 "동화시키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지적 갈등상태'인데, 이렇나 비평형은 '조절을 동반하거나 "조절 없이 자극을 동화시켜" 나감으로써 평형에 도달한다'고 쓰여있습니다. 요지는, 동화시키지 못해 발생하는게 비평형 상태인데, 어떻게 동화시켜 평형상태로 나아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저에겐 이 문장들이 모순이라고 느껴졌습니다.
4. 레스트의 도덕심리학 (교재 76p)
교재에 레스트의 2가지 도덕 발달 징표는 '공유된 기대에 관한 개념으로 목표와 계획을 조화시키기 위해 규칙은 어떻게 알려져야 하고 공유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념'과 '안정적인 사회 조직을 이루기 위해 이익을 어떻게 조화시켜야 할 것인가에 대한 개념'이라고 쓰여있습니다. 보충자료에는‘대인간 상호기대의 조정과 손익의 균형화라는 두 요소에 대한 피험자의 개념화 수준이라고 쓰여있습니다. 교재와 보충자료 모두 같은 의미로서, 둘 중 아무거나 선택해서 서술해도 되나요?
5.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이론 (교재 85p)
5-1. 도덕적 정체성은 도덕적 이해가 성격의 중심으로 통합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라고 했는데, 이때 성격 대신 자아 또는 정체성을 써도 같은 의미인가요?
5-2. 도덕적 정체성은 도덕적 이해가 성격의 중심으로 통합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라고 했는데, 이때 도덕적 이해가 도덕성과 같은 개념이라고 보아도 되나요?
5-3. 도덕적 인격과 도덕적 정체성은 같은 개념인가요?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