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강의질문] 정치 사회 사상, 존 롤즈의 중첩적 합의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06월 07일 16시 05분
- 조회수
- 161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3. 부적절한 표현의 사용으로 인해 이해의 어려움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해당 부분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오니 읽어 보시고 의문이 남는다면 다시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정치관을 인정하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포괄적 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그것이 제공하는 종교적, 철학적, 그리고 도덕적 근거에 기초하여 입안하는 것이다"를 “중첩적 합의의 결과물인 정치적 정의관은 그것을 인정하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포괄적 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그것이 제공하는 종교적, 철학적, 그리고 도덕적 근거에 기초하여 수용하는 것이다. “
질문의 핵심
2. 중첩적 합의는 정치적 정의관에 대한 합의이고, 정치적 정의관이란 공정으로서의 정의에 대한 합의, 즉 정의의 원칙에 대한 합의입니다.
▒▒▒▒▒▒ [김광윤 회원님의 글] ▒▒▒▒▒▒
늘 친절한 답변 감사드리며, 오늘도 어김없이 인지부조화로 고통스러운 존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 파트, 중첩적 합의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정의론과 정치적 자유주의를 짬뽕하다보니까 모순같아보이는 부분 때문에 사고가 꼬였는데,
중첩적 합의가 도대체 정의의원칙 도출 과정의 어디에서 일어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모순에 부딪히는 제 사고의 흐름을 그대로 적겠습니다.
1. 중첩적 합의가 잠재적 타협이 아님에 대한 설명 "정치관을 인정하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포괄적 관점으로부터 출발하여 그것이 제공하는 종교적, 철학적, 그리고 도덕적 근거에 기초하여 입안하는 것이다"을 보면,
마치 중첩적 합의가 자신의 선관념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모여서 합의맺는것처럼 들리네요.
2. 중첩적 합의라는건 중첩적 정치적 정의관 합의다. 정의의 원칙 도출 전에 하는 합의같다.
3. 정의론에서 정의의원칙 도출 전에는 무지의 베일 때문에 선관념을 모르는 상태라고 했는데...
중첩적 합의가 도대체 뭘까요...무지의 베일이랑 엮어서 생각하면 헷갈립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