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월 강의질문] 롤즈/ 목적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07월 05일 19시 52분
- 조회수
- 213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롤즈 관련 질문
1. (a)는 공정의 기회 균등의 원칙을 지키지 못하고 기회의 불균등을 허용해야 하는 불가피한 상황에서 그러한 기회의 불균등이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조건을 진술한 것입니다. (b)는 저축과 관련하여 특정 개인 혹은 집단에게 더 많은 저축의 부담을 지울 수 밖에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서 그러한 행위가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조건을 진술한 것입니다.
2. 제가 어떤 맥락에서 그렇게 진술했는지 보아야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은데, 제 답글을 찾을 수가 없네요. 죄송합니다만 ‘(b)가 공정한 기회는 차등의 원칙에 우선해야 한다는 것의 예’라는 답글의 번호를 알려주시면 읽고 질문에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칸트 관련 질문
3. 그 자체 본질적이고 절대적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서, 인간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대부분의 학자는 이러한 목적의 정의를 공유합니다. 학자들 사이의 차이는 목적의 정의가 아니라 그러한 목적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대한 관점의 차이입니다.
4. 칸트에게 있어서 목적이란 이성적 존재가 지향하는 객관적이고 필연적인 것으로 그 자체 절대적인 가치를 지니며 실존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인격입니다.
5. 목적을 인간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으로서 보편성, 객관성, 절대성을 지닌 것으로 본다는 점에서 칸트와 아리스토텔레스 사이에 차이는 없습니다. 그런데 그러한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해 두 학자는 생각을 달리합니다. 칸트는 인격,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목적으로 보니까요. 이런 점에서 보면 칸트의 목적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은 아무런 연관성도 없는 개념입니다.
▒▒▒▒▒▒ [권가연 회원님의 글] ▒▒▒▒▒▒
---------------------------------------------------------------------------
<제2우선성 규칙(효율성과 복지에 대한 정의의 우선성)>
정의의 제 2원칙은 서열상으로 효율성의 원칙이나 이득의 총량의 극대화 원칙에 우선해야 하며 공정한 기회는 차등의 원칙에 우선해야 한다. 여기에는 두가지 경우가 있는데, 즉
(a) 기회의 불균등은 보다 적은 기회를 가진 사람들의 기회를 증대해야만 하고 ’(:사회의 주요 직위와 직책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의 불균등은 다른 이유 때문이 아니라 오직 사회의 주요 직위와 직책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적게 가진 사람의 기회를 증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질 때에만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b) 과도한 저축률은 결국 이러한 노고를 치르는 사람들의 부담을 경감시켜야 한다.(:세대 간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현세대에게 과도한 저축을 요구할 경우, 그러한 요구는 현세대 중에서 보다 큰 저축의 부담을 떠맡은 사람의 부담을 줄이는 결과를 가져올 때에만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
질문 1. 정의의 제2우선성 규칙 (a),(b)가 정의의 제2 원칙 (a),(b)와 어떤 식으로 연관되는지 궁금합니다.(ex. 정의의 제2우선성규칙(a)=정의의제2원칙(a), 제2우선성규칙(b)=정의의 제2원칙(a)으로 봐도 될까요?)
질문 2. 정의의 제2우선성 규칙 (b)가 왜 공정한 기회는 차등의 원칙에 우선해야 한다는 것의 예인지 궁금합니다.(다른 수강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읽고도 이해가 되지 않아 중복하여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
칸트:인간성 정식에서의 '목적", 인간을 수단이 아니라 '목적'으로 취급
아리스토텔레스:'목적'론적 세계관, '목적'론적 세계
공리주의:'목적'론적 윤리
-------------------------------------------------------------------
질문 3. 각 학자별로 목적의 정의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4. 특히 칸트의 목적개념이 이해가가지않습니다
질문 5. 칸트 인간성의 정식에서의 목적이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과 연관된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항상 친절하게 답변해 주셔서 감사힙니다
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