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뒤로

강의내용질문

[1~2월 강의질문]  아리스토텔레스 질문드립니다

작성자
김병찬
등록일
2022년 07월 05일 19시 56분
조회수
159
첨부파일
질문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순서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품성의 탁월성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목적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탁월성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우리가 모든 상황에서 항상 좋은 목적만을 열망하기 위해서는 품성의 탁월성을 소유해야 합니다. 이런 점에서 품성의 탁월성을 좋은 목적을 결정하는 탁월성이라 한 것입니다. 2. 지적인 탁월성을 정의할 때 ‘품성상태’는 품성의 탁월성을 정의할 때 사용된 의미의 용어가 아니라, ‘내면에 굳어져 있는 상태’라는 일반적 의미를 지닌 용어입니다. ▒▒▒▒▒▒ [박민형 회원님의 글] ▒▒▒▒▒▒ 1. 교재 66p. 맨 마지막 칸에서, 품성의 탁월성은 목적을 결정하고, 실천적 지혜는 목적에 이바지하는 것으로서 이 두 개념이 목적과 수단으로 연결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품성적 덕이 '목적'이 될 수 있나요? '목적'이란 열망하는 것이고 실천적 지혜의 목적은 '인간으로서 전체적으로 잘 사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품성적 덕은 '인간으로서 전체적으로 잘 사는 것'이자 인간이 열망하는 것이 되어야하는데 이것이 맞나요? 2. 교재 61p 품성상태는 감정에 대한 태도라고 설명되어있는데(55p), 학문적 인식, 직관적 지성, 철학적 지혜 등은 감정에 대한 태도가 아니지 않나요? 근데 왜 이것을 품성상태라고 하는 지 잘 모르겠습니다.

본문

댓글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