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강의질문] 플라톤 질문드립니다
- 작성자
- 김병찬
- 등록일
- 2022년 07월 12일 20시 13분
- 조회수
- 134
- 첨부파일
-
질문 감사합니다.
‘국가’ 2권에서 플라톤이 수호자(phylakes)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 그는 ‘수호자’라늕 용어를 통치자와 보조자(방위자, 방어자, 군인)를 두루 일컫는 넓은 의미로 사용합니다. 이후 플라톤은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거쳐 ‘국가’ 3권에서 넓은 의미의 수호자를 두 부류로 구분하는데, 전자를 ‘통치자, 완벽한 수호자, 완전한 수호자, 참된 수호자’로 부르고, 후자를 ‘군인, 보조자, ‘협력자’로 명명합니다.
▒▒▒▒▒▒ [김현서 회원님의 글] ▒▒▒▒▒▒
플라톤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수호자'와 관련하여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서양윤리학사 --> 수호자와 보조자를 구분함
수능특강(윤리와사상) --> 수호자(통치자+방위자)로 표기
이렇게 두 가지로 나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혹시 두 가지가 전부 통용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본문